'2030 탈당'이 역선택 증거라는 尹 지지층…여의도 정가의 해석은?(종합)

입력 2021-11-08 17:44:01 수정 2021-11-08 18:15:58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8일 오후 국회 헌정회를 예방해 회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8일 오후 국회 헌정회를 예방해 회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8일 "지난 주말 수도권에서만 1천800명이 넘는 탈당이 있었고 탈당자 중 2030 세대 비율은 75%가 넘는다"고 밝혔다. 자당 대선후보로 윤석열 후보가 선출된 이후 2030세대의 탈당 움직임이 감지되자 윤 후보 지지층에서 이를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역선택' 증거"라며 공세를 펼치자 이를 가벼이 볼 일이 아님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 후보) 심기경호하는 것도 아니고 왜 방송 나가서 내용도 정확하게 모르면서 이상한 소리들을 하는지 모르겠다. 그렇게 2030을 조롱해서 얻고자 하는 정치적 이득은 무엇인가"라며 이 같이 말했다. 윤 후보 측에서 탈당이 소규모이며 경선에 참여한 여권 지지자의 '역선택'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자 공개 반박한 것이다.

앞서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중앙당 집계에 따르면 5일 전당대회 종료부터 이날 오전 현재까지 확인된 탈당자 수는 40명이 전부"라며 "청년층 탈당 러시는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또한 윤석열 캠프의 윤희석 공보특보도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탈당과 관련해 "평소 당원 증감률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당 관계자가 밝혔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전날 밤에도 SNS를 통해 "무엇을 위함인지 알 수 없는 조롱과 역선택 주장으로 폄훼하면 돌아올 것은 역풍밖에 없다"고 했다. 이틀 연속 비슷한 메시지를 낸 것이다. 이는 당원 게시판과 2030 남성이 주로 활동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탈당을 예고하거나 탈당 인증샷을 올리며 홍준표 의원(대구 수성구을) 탈락에 대한 불만을 터뜨리는 글이 줄을 잇고, 윤 후보 지지자들이 이를 '선거 공작'으로 폄하한데 기인한다.

지난 5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후 국민의힘 홈페이지 게시판에
지난 5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대선 후보로 확정된 이후 국민의힘 홈페이지 게시판에 '탈당' 의사를 밝힌 2030 청년층 게시물이 잇따랐다. 국민의힘 홈페이지 갈무리

이 같은 상황을 두고 여의도 정가에서도 윤 후보 지지층이 "나가도 너무 나갔다"는 반응과 함께 앞으로 보수 지지층 내 세대 갈등 양상으로 번질지도 모른다고 우려한다. 실제로 스스로 '2030세대·홍준표 지지자'라고 밝힌 한 누리꾼이 "기득권 정치인들과 6070 당신들이 새바람 2030을 걷어찼다"면서 "(홍 의원 지지를) 민주당의 역선택이라고 조롱하고, 우리를 '민주당 프락치'로 만드는데 어떻게 그 지지자들과 '원팀'이 되겠나.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라고 항변하는 지경이다.

국민의힘 청년당 '청년의힘' 공동대표였던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포항남울릉)은 "'역선택'이라는 것은 여론조사 전문가들에게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라면서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 글로 탈당 분위기가 과대 대표됐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상한 개념어를 가져와 '불쌍한 철딱들(철없는 따가리들)'이라고 조롱하며 갈라치기 하고, 젊은이들도 당원의 선택을 '틀니의힘'이라고 헐뜯는 것은 대선을 앞두고 우리 스스로 확장성을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정치·선거 컨설팅업체 엘엔피파트너스 이주엽 대표도 "기성 정치 문법으로 MZ세대의 정치 언어를 해석하려다 보니 '역선택'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것"이라며 "'30대 이준석'이 대표가 되면서 보수정당이 2030세대로 정치지형을 확대했으나,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시대정신"에 부합한다고 생각한 후보가 낙마하자 실망하고 돌아선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해석이지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이어 "홍 의원이 그동안 '막말' 등 부정적 이미지를 가졌지만 이번 경선 기간에 나름 정제된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국면마다 '직선적 언어'를 사용해 젊은 층에게 시원함을 주면서 '꼰대' 이미지를 희석했다"며 "반면 '공정'을 외친 윤 후보가 여러 구설이 나오면서 정계 입문 때와 달리 부정적인 이미지가 쌓였다. 이런 점도 이번 논란에서 중요하게 짚어볼 지점"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