굵직한 사회간접자본 초석 다져
산격동 옛 도청 공관과도 인연…당시 대통령 지방순시 이용 추정
26일 별세한 노태우 전 대통령은 경상북도 발전에 기여한 굵직한 사회간접자본(SOC)의 초석을 놓는 등 주요한 역할을 했다.
우선 대구와 안동을 거쳐 춘천을 이으며 한반도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고속도로는 노태우 전 대통령시절인 1989년 11월 착공했다. 1970년대 초반 경남 마산에서 강원 원주에 이르는 노선으로 구상이 시작됐고 1차로 1977년 말 대구~마산 구간이 개통됐다.
이후 나머지 나머지 노선의 지정과 착공이 노태우 전 대통령 시절 이뤄진 것이다.
중앙고속도로는 앞으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을 잇는 광역교통망으로써의 활약도 기대되고 있다.
동해안의 유일한 국제 컨테이너항인 영일만항도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북방외교가 한창 추진되던 지난 1992년 처음 사업이 계획 고시됐다.
이는 포항의 제철산업과 배후산업단지 발전을 지원하는 대북방 물류 거점 항만을 만들기 위한 목적이 반영된 계획이었다. 또한 국제·연안여객부두 및 친수공간을 확충해 관광 기능도 강화하는 역할도 한다.
2030년까지 총 2조8천463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출발이 노태우 전 대통령 시절 이뤄졌다.
대구 북구 산격동 시절 경북도청과의 인연도 있다.
도청 내 대통령 지방공관이 1980년 건립돼 1993년 노태우 전 대통령 재임 시까지 운영됐기 때문이다. 이 시기 노태우 전 대통령은 지방 방문 시 산격동 공관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 임기가 끝난 뒤 1993년 3월부터 대통령 지방공관이 폐지돼 도지사에게 사용권이 이양됐다.
이 공관은 수 십년간 도지사 집무 및 주거공간으로 이용됐고 대외통상교류관 등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2016년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한 뒤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 사무실, 회의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