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비난 격화, 또 다시 내홍
유승민 "尹 위한 경선룰 안돼"-홍준표 "규칙 개정은 이적 행위"
최재형 "고의로 약체 찍을수도"-하태경 "당원 투표 비중 높여야"
후보 선출 당락 여론조사 좌우…洪 호남 지지 尹 추월 해석 분분
국민의힘이 역선택 방지조항을 둘러싸고 또 다시 내홍에 휩싸였다. 경선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조항을 포함시킬 것이냐를 두고 '홍준표·유승민 대 윤석열·최재형' 전선이 구축되며 상호 비방전이 격화하는 모습이다.
◆역선택에 '두 쪽' 난 국민의힘
유승민 후보는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역선택 방지조항에 거듭 반대 의사를 밝혔다. 특히 지난 30일 경선룰 '원점 재검토'를 천명한 정홍원 당 선거관리위원장을 향해 공정성 문제를 강하게 제기했다.
유 후보는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오직 윤석열 후보만을 위한 경선룰을 만들려고 한다. 경준위와 최고위가 이미 확정한 경선룰을 자기 멋대로 뜯어고쳐서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으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 후보는 중도층 확장을 통한 본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12년·2017년 대선 경선에서도 역선택 방지조항을 포함하지 않다가, 이번 대선에 갑자기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 2016년 20대 총선을 언급한 유 후보는 "180석도 자신 있다고 큰소리치던 우리 당은 겨우 122석을 얻고 기호 1번을 민주당에 빼앗겼다. 패배의 이유는 단 하나, 청와대의 지시대로 공천전횡을 일삼던 이한구 공관위원장 때문이었다"며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제2의 이한구가 되려고 하느냐"고 경고했다.
홍준표 후보도 역선택 방지조항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홍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1500미터 경주에서 선수들이 이미 트랙을 한 바퀴 돌았는데 바뀐 심판들이 갑자기 특정 주자들을 위해 경기 규칙을 바꾸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경선규칙 개정은 경선을 파탄으로 몰아가는 이적 행위"라며 정 위원장을 직격했다.
홍 후보는 "우리당 역사상 대선후보 경선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은 사례가 한 번도 없다. 지난 보수정권이 실패한 교훈을 잊고 당까지 망치려고 시도 한다면 이건 묵과 할 수 없는 이적 행위"라며 "그런 시도는 정권교체에 역행하는 반 역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윤석열·최재형 후보는 민주당 지지층에 의한 고의적인 '약체 후보' 선출을 막기 위해선 여론조사 시 역선택 방지조항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최재형 캠프는 지난 29일 '유승민·홍준표 후보, 혹시 민주당 후보입니까?'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역선택 방지는 무당층과 중도층 또는 같은 야당인 정의당, 국민의당 지지자들을 배제하는 게 아니다. 막강한 동원력을 가진 민주당 열성 지지자들이 좌표를 찍고 국민의힘 경선에 끼어들어 결과를 조작하려는 시도를 막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洪 지지율 급상승…역선택이냐 아니냐
역선택 문제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홍준표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거세게 추격하면서 논란이 확산하는 모습이다.
지난 30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발표한 '범보수권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홍 후보는 20% 대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윤석열 후보와의 격차를 오차범위 내인 5%포인트 미만으로 바짝 좁혔다.
특히 호남에서 보수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홍 후보의 지지율이 윤 후보를 더블 스코어로 앞선 것을 두고 두 후보 간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윤 후보 캠프 관계자는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는 70∼80%의 호남 메인 스트림이 범야권에서 가장 손쉬운 상대로 홍 의원을 꼽은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 민주당 지지층이 약체인 홍 후보를 위장 지지했다는 것이다.
반면 홍 후보는 호남에서의 인기가 역선택과는 무관한 자신의 개인기라는 입장이다.
홍 후보는 광주전남 발전방안 제시, 과거 광주지검 근무, 처가 연고 등을 이유로 들며 "직선제 이후로 여태 단 한 번도 우리당이 호남 득표율을 10% 넘긴 일이 없었는데 이번에는 호남 득표율을 20%까지 해보겠다"고 자신했다.
◆'역선택 방지조항'의 운명은?
전문가들은 역선택 논란의 근본 원인에 대해 여론조사를 중시하는 한국 정치의 특수성을 지목한다.
하세헌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당내 후보자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에서 여론조사는 일종의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여론조사가 당원투표 못지않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역선택 논란은 여론조사의 문제점으로 항상 지적돼왔다"며 "후보별 유불리를 떠나 이론적 측면에서 말하자면, 여론조사 만능주의가 이 같은 논란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인다"고 했다.
여론조사가 당내 후보 선출 당락을 좌우하는 한, 역선택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하태경 후보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제외하는 대신 여론조사 비중도 낮추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1차·2차 컷오프 모두 '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하자는 것이다.
하 후보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빼 여론조사에서 비(非)지지층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대신, 당원투표 비중을 더 높이면 각 후보들이 절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경준위는 ▷1차 컷오프는 '여론조사 100%' ▷2차 컷오프 '여론조사 70%, 당원투표 30%' ▷최종 후보 선출은 '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하자고 결정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