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서점이나 전자책 이용이 활성화된 지금도 나는 여전히 헌책방을 좋아한다. 지난날 헌책방에 대한 이런저런 기억들 때문이다.
우리집 책장은 엄마가 처녀시절 사다 모은 책으로 가득했다. 스프링 제본된 요리책 세트, 따라 쓴 흔적이 가득한 펜글씨 교본, 읽기 시작할 엄두도 나지 않는 두꺼운 세계문학전집 등. 전집을 사서 전시해 두는 게 유행이던 때가 있었다고 멋쩍게 고백하던 엄마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언젠가 아저씨 한 분이 찾아오셔서 노끈에 묶인 책들을 가져가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해보면 헌책 방문수거가 아니었을까 싶다.
전과라 불리던 참고서와 사전, 전학을 하여 구하지 못한 교과서를 사러 부모님을 따라 헌책방을 찾기도 했다. 현재 모습과 비교해 보면 아마도 남산동에 있는 '해바라기서점'이었던 것 같다. 책방을 들어서며 '이런 허름한 서점에서 남이 보던 책을 살 만큼 우리집 형편이 그리 어려운가'하며 어린 마음에 속상하기도 했지만, 이내 이곳저곳 둘러보며 멍하니 그 장소가 주는 분위기 자체에 매료되었던 것 같다. 다 본 참고서를 팔러 가야한다고 핑계를 대며 다시 찾았을 정도니까.
누렇게 바랜 종이, 풍기는 특유의 냄새가 여전히 기억난다. 밑줄을 긋거나 메모가 남겨진 책들.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며 그들의 이야기와 추억을 담아내고 과거로 시간여행을 떠나는 기분마저 들게 해준다. 혹여나 넘어뜨릴까 요리조리 피해 다니며 책을 고르는 재미도 쏠쏠하다. 마치 미로처럼 쌓여진 책이지만 그 속엔 나름의 질서가 있을 터. 책들이 그리 복잡하게 정리되어 있어도 주인장들은 부르는 대로 책의 위치를 척척 찾아낸다.
"헌책방은 어릴 적 혼자 올라간 다락방 같은 아늑함이 느껴진다. 깔끔하지는 않지만 왠지 친숙하고 정겨웠다."('헌책방, 인문학의 추억을 읽다' 프롤로그 중)
성인이 되어 홀로 떠난 서울 여행에서 만났던 청계천 헌책방 골목, 보기만 해도 설렜던 남편과의 부산 보수동 책방 골목 데이트에서도 오래전 읽었던 책을 우연히 마주하며 느끼는 반가움이 대단했다.
한 기사에 따르면 대구 남산동 헌책방골목에는 현재 4곳의 헌책방만이 남아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북적이던 헌책방 거리에는 적막이 흐른다. 오래된 대형 책방은 온라인 사이트를 열고 헌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온라인서점, 대형 중고서점 등의 등장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영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우리에겐 헌책방이 아날로그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하나의 추억거리지만 사장님들에게는 생계수단이기도 하다.
필요한 누군가에겐 보물이 되는 가치를 지닌 헌책, 오래된 것의 가치를 지키는 헌책방. 언제 다시 찾더라도 그 골목 그 자리에 있어주길 바라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