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벌통엔 꿀이 없다?…이상기온 원인 수확량 크게 줄어

입력 2021-08-01 16:36:47 수정 2021-08-01 19:59:1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사육규모 전국 1위(21.7%)인데…3년 새 1군당 20.2→7.7→5.9kg
4월 고온·저온 변동 개화 악영향…채밀 줄면 생태계 악영향 미치는 만큼 대책 마련 절실

벌통을 열어 보이고 있는 경북 농가 모습. 경북도 제공
벌통을 열어 보이고 있는 경북 농가 모습. 경북도 제공

'전국 최대 규모' 경북 양봉산업이 이상기온과 잦은 비 등의 원인으로 수확량이 대폭 주는 등 위기에 놓였다. 벌의 채밀 활동은 과수 화분 역할을 하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8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도내 양봉 농가는 6천347호로 전국(2만9천113호)의 약 21.8%를 차지하고 있으며, 2위인 경남(3천717호·12.8%)을 압도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2년간 벌꿀 수확량이 급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북도가 올해 상반기 긴급 표본조사를 한 결과, 1군당(통상 벌통 1개) 수확량은 2018년 17㎏, 2019년 20.2㎏으로 늘다가 지난해 7.7㎏으로 대폭 감소했다. 올해도 6월 말 기준 5.9㎏ 수준에 그쳤다.

이는 소규모 농가가 아니라 300군 이상 사육하는 대규모 양봉 농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여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수확량 감소 원인으로는 봄철 개화 및 채밀시기에 부적합한 날씨 등 이상기후가 꼽힌다.

꽃이 피는 4월 한 달 동안 고온과 저온을 오가는 양극단의 기온 변동이 발생해 대표 채밀 대상인 아까시꽃 개화에 악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특히 같은 달 14, 15일 경북 등 내륙에는 2004년 6월 이후 가장 늦은 한파주의보가 내려져 꽃망울 냉해 피해를 줬다.

아까시꽃 개화기인 5월에는 잦은 비가 꿀벌 채밀 활동을 방해했다. 이 시기 전국 강수량은 143.8㎜로 1973년 이후 7번째로 많았고 강수일수도 14.5일에 달했다.

이상기후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이어졌다. 앞으로도 잦아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어 농가의 시름은 점점 깊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귀농·귀촌 및 퇴직자들이 초기 자본이 적은 양봉업에 앞다퉈 뛰어들면서 양봉 농가 수익률을 악화시키고 있다. 전국에 식재된 아까시나무가 노화돼 꿀 딸 면적이 주는 점도 악재다.

안상규 안상규벌꿀 대표는 "경북 양봉산업은 농가 수로는 한우에 이어 두 번째로 많고 식량 작물 화분 매개 등 공익적 가치가 매우 크다"며 "위기에 놓인 양봉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나 자치단체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