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전 특별검사가 건국대의 옵티머스자산운용 투자 관련 수사가 한창이던 지난 5월 김경희 전 건국대 이사장과 만찬 회동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모 부장검사와 건국대 쪽의 두 차례 만남 정도로만 파악됐던 건국대 수사 무마 의혹 사건에 이 부장검사의 '주군' 격인 박 전 특검이 등장한 셈이 됐다.
매일신문 취재 결과 박영수 전 특검은 지난 5월 초쯤 김경희 전 이사장, 정치권 인사, 제약계 인사 등과 함께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한 레스토랑에서 함께 식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식사 자리는 김 전 이사장의 초대로 이뤄졌다고 한다.
이번 회동은 건국대 수사 무마 청탁 의혹 사건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경찰이 파악한 이번 수사 무마 청탁 의혹은 학교 쪽과 부장검사 급의 접촉이었던 까닭이다.
경찰은 지난해 8월과 10월 김경희 전 이사장과 남부지검 금융조사제2부 수장이었던 이 부장검사 등이 각각 골프 회동과 식사 자리를 가지며 수사 무마 청탁을 했다는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장검사와 건국대 사건을 지휘하는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 김모 부장검사가 가까운 사이인 까닭이다. 둘은 연수원 동기다. 게다가 2013년 둘은 법무부에서 함께 근무하기도 했다고 알려졌다.
김경희 전 이사장의 딸 유자은 현 이사장은 건국대의 사업체인 '더클래식500'이 사모펀드인 옵티머스자산운용에 120억 원을 투자한 것과 관련 지난해 9월부터 검찰 수사를 받기 시작했다. 지난해 1월 더클래식500은 운용하고 있던 건물의 임대 보증금을 털어 옵티머스자산운용에 120억 원을 투자한 바 있다. 교육부는 이 투자를 사립학교법과 교육부 지침 위반으로 파악하고 지난해 9월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학교법인이 수익용 기본재산을 사모펀드에 투자하려면 이사회의 심의•의결을 거치고 교육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건국대는 이러한 절차를 전혀 거치지 않은 혐의를 받았다.
박영수 전 특검과 김경희 전 이사장의 만난 정황이 알려지자 정계에서는 이 식사 자리가 앞선 두 차례의 회동에 이은 수사 무마 청탁의 연장선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이 이 부장검사에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주군 격인 까닭이다. 이 부장검사는 박영수 특검팀 출신이다.
이들의 만남에 '가짜 수산업자' 김모 씨가 깊숙하게 개입됐다고 알려지자 박영수 전 특검을 향한 의심의 눈초리는 더욱 짙어지고 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해 두 차례 있었던 김경희 전 이사장, 이 부장검사 등과의 회동을 주선한 건 다름 아닌 김 씨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씨는 박 전 특검에게 포르쉐와 고급 수산물 등을 제공한 인물이기도 하다.
여기에 박영수 전 특검에게 가짜 수산업자 김 씨를 소개한 인물이 건국대 출신 인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 씨의 감방 동기였던 전직 언론인 송모 씨는 건국대 특임 교수이자 대외협력실장을 맡은 바 있었다. 송 씨는 김 씨에게 박 전 특검 외 김무성 전 의원 등 유력 정치인 여럿도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씨는 지난해 8월 골프 회동 때도 함께 했다고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 부장검사가 가짜 수산업자 김 씨에게서 금품을 받은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아 수사 무마 의혹 사건의 진동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지난달 23일 이 부장검사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김 씨는 경찰 조사에서 2019년 말부터 10여 차례에 걸쳐 이 부장검사에게 명품 시계와 이 부장검사 자녀의 학원비, 고가의 식품 등을 건넸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 진술을 뒷받침해 줄 장부 내역과 계좌 내역 등 구체적인 기록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장검사에게 김 씨를 소개한 건 다름 아닌 박영수 전 특검이었다.
박영수 전 특검과 김경희 전 이사장의 만남 뒤 얼마 지나지 않은 5월 27일 검찰은 건국대 관련 사건을 무혐의 처분 내렸다. 검찰청 관계자는 "이 사건은 동부지검에서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됐다"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외부의 압력은 받은 바 없다"고 했다.
하지만 수사 의뢰를 했던 교육부도 수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건국대 노조 역시 마찬가지다. 보건의료노조 건국대 충주병원 지부는 지난 13일 서울고등검찰청에 항고이유서를 접수했다. 항고란 검찰의 1차 처분에 불복해 재수사를 해달라는 요청이다.
이와 관련 박영수 전 특검과 김경희 전 이사장은 여러 차례 연락에도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