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대 시중은행 신용대출 금리 연 2.85~3.90%…1년 전보다 하단 0.85% 올라
자영업자, 가계 대출 이자 부담 우려↑
한국은행이 국내 기준금리 정상화를 예고한 가운데 이미 주요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1년 새 1%포인트(p) 가까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오르면 은행권 금리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서 대출 가계의 이자 부담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16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85∼3.9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7월 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크게 낮춘(1.25%→0.50%) 뒤 은행 신용대출 금리도 1.99∼3.51%로 내렸던 당시보다 하단 기준 0.86%p나 오른 것이다.
경기 회복에 따른 시장 금리 상승, 가계대출 급증을 막으려는 은행권의 우대금리 축소(금리 인상) 등 영향에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 금리가 꾸준히 오른 결과다.
신용대출 금리는 주로 은행채 6개월·1년물 등 금융채 단기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쓰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0.761%에서 이달 16일 1.194%p로 1년 새 0.433%p나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주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따른다. 코픽스란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쓸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많은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은행권의 6월 기준 코픽스는 0.92%(신규취급액 기준)로, 5월(0.82%) 이후 한달 만에 0.1%p 뛰었다. 작년 7월(0.81%) 이후 1년 새 0.11%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금리) 금리는 은행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1.277%에서 16일 현재 1.964%로 0.687%p나 뛰었다.
조만간 기준금리가 오르면 이런 지표금리와 이를 따르는 은행 대출금리의 상승 속도도 동반 상승할 전망이다. 은행권도 가계대출 급증을 막으려는 '대출 조이기' 규제를 따르려 고객별 우대금리 폭을 0.5%p 이상 대폭 낮추고 대출 금리를 끌어올리는 중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경산)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득분위별 가계대출(금융부채) 중 72%를 변동금리 대출로 봤을 때 개인 대출(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등) 금리가 1%p 오를 경우 국내 가계대출 이자는 총 11조8천억원 증가한다.
이때 자영업자 이자 부담은 5조2천억원이나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방법으로 금리가 0.5%p 오르면 가계대출 이자는 5조9천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