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화이자, AZ 백신 우열 가릴 수 없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이 60~64세까지 확대된 가운데 일부 가정에서 '백신을 맞아야 코로나 시국이 끝난다'는 부모 세대와 부작용 우려 탓에 '맞지 말라'고 하는 자녀들이 옥신각신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희귀 혈전' 등 부작용 발생 우려가 젊은 층일수록 높기 때문인데, 전문가들은 AZ·화이자 백신을 두고 우열을 가릴 수는 없고 접종을 하지 않는 것보다는 하는 편이 더 낫다고 조언했다.
오모(64·대구 달서구) 씨는 지난달 말 AZ 백신을 맞기 위해 동네 의원에 예약을 해두고 접종일을 30대 자녀에게 알렸다가, "굳이 미리 맞을 이유가 있느냐. 조금 더 지켜보고 맞으면 된다. 취소하라"는 말을 들었다.
백신을 먼저 맞았던 지인들로부터 열과 근육통 등 가벼운 반응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접종을 결정한 오 씨는 "나부터 맞아야 코로나가 해결되기 시작될 것이다. 조만간 백신을 맞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일수록 백신 불신이 커 부모에게 만류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60대 부모를 둔 백모(28) 씨는 "아버지가 가뜩이나 몸이 약한데, 혹시 모를 부작용 때문에 차라리 안 맞는 게 나을 것 같다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자녀들의 만류에도 접종을 했다는 사람들도 있다. 대구 달서구 한 60대 부부는 남편이 8일 오전, 아내가 같은 날 오후에 순차적으로 1차 백신 접종을 받았다. 이 부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는데, 자녀들의 우려와 달리 지금까지는 통증이 전혀 없다. 접종 직후부터 현재까지 이상 반응은 없었다"고 했다.
2030 세대의 불신은 통계로도 나온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달 28일 전국 만 18세 이상 500명을 상대로 '잔여백신 접종 의향' 설문조사를 했더니 50, 60대에선 '전혀 없다'는 응답이 각각 10.8%와 4.3%에 불과했지만, 20, 30대에선 각각 32.5%와 23.7%로 높았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백신접종 이상반응 신고율은 AZ 백신이 0.46%, 화이자 백신이 0.2%이고, 이상반응 신고 사망자는 AZ 백신이 72명(10만 건 접종당 1.30명), 화이자 백신이 136명(10만 건 접종당 3.15명)이다.
송정흡 칠곡경북대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정부가 초기에 AZ 접종을 일주일간 중단하거나, 일부 병원에서 코로나 환자 치료 여부에 따라 의료진에게 다른 백신을 맞추는 등 오해를 불러일으킨 측면이 있다"며 "AZ와 화이자 중 어느 것이 좋은 백신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고, 접종을 하는 것이 낫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