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수성사격장 소음 측정 시작…권익위 "중재안 반영"

입력 2021-06-02 15:57:39 수정 2021-06-05 11:28:40

민·군 갈등 해소될까
전차·사격·헬기 단계별 진행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노란 상의)이 수성리 마을회관에 설치된 소음측정기 앞에서 국민권익위 조사관으로부터 소음측정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신동우기자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노란 상의)이 수성리 마을회관에 설치된 소음측정기 앞에서 국민권익위 조사관으로부터 소음측정 계획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신동우기자

민·군 갈등을 겪어온 경북 포항 수성사격장(매일신문 4월 30일자 8면 등)에 대한 소음피해 측정이 2일 시작됐다.

민·군간 중재 조정을 진행 중인 국민인권위원회 주재로 진행되는 이번 측정은 주한미군 아파치헬기와 해병대 155mm 포·전차포·지뢰·박격포·대전차화기 훈련 등이 대상이다.

전차·지뢰 등은 3, 4일 이틀간 측정이 진행되며, 나머지 해병대 사격훈련은 29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소음이 측정된다.

가장 논란이 됐던 주한미군 아파치헬기 사격훈련은 7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소음측정 장소는 ▷수성리 590번지·수성리 마을회관(85가구·138명 거주) ▷임중1리 마을회관(46가구·83명 거주) ▷산서리 128번지 초롱구비마을·산서리 신기경로당(129가구·195명 거주) ▷양포초등학교(5개반·32명 재학) 등으로 정해졌다.

소음 측정기기는 훈련 일정에 맞춰 수시로 설치되며, 장소마다 측정기관별로 1대씩 모두 3대가 설치된다. 다만 수성리 마을회관은 생활소음까지 측정하기 위해 24시간 상시 측정기기(국방부 소유)가 1대 추가 운영된다.

이번 측정의 공정성을 꾀하기 위해 국방부(용역업체)·해병대(직접)·포항시(용역업체) 등 3개 기관이 6개 장소에서 함께 측정하고 국립환경과학원 연구관, 주민대책위 대표, 국민권익위 조사관, 포항남부경찰서 경찰관 등이 참관하게 된다.

소음피해 상황은 보통 소음측정치의 평균값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번에는 주민들의 고통을 실제 반영하기 위해 최고 측정값을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

이날 현장을 찾은 전현희 국민인권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4개월간 부대별 사격훈련 현황과 주민들이 주장한 피해사실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소음피해 여부를 직접 확인하겠다"며 "주민 대표와 국방부, 포항시 등의 합의 후 부대별, 화기별 소음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 결과를 확보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측정으로 수성사격장 존속과 폐쇄로 양분된 국방부·주민 간의 이견이 좁혀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수성사격장은 국방을 위한 군 사격장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면서도 "권익위 중재 결과를 충실히 따를 계획이다. 만약 이전이나 폐쇄 결정이 난다면 이를 수용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 수성사격장은 지난 2019년 경기도 포천에서 시행 중이던 주한미군 아파치헬기 사격훈련이 주민 협의없이 이전하며 민·군 간 갈등이 촉발됐다.

지난 1월 19일 '수성사격장 이전 또는 완전 폐쇄'를 요구하는 주민 집단민원(2천803명)에 따라 국민권익위의 중재 조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