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슬로바키아, AZ백신 접종 유보·대상 제한

입력 2021-05-12 15:37:07

캐나다 온타리오주도 희소 혈전증 우려로 1회차 접종 중단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주도 토론토에서 11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로 들어가고 있다. 이날 온타리오주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이 혈전을 유발했다는 보고가 속출하자 이 백신의 1차 접종을 즉시 중단했다. 연합뉴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주도 토론토에서 11일(현지시간)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센터로 들어가고 있다. 이날 온타리오주 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이 혈전을 유발했다는 보고가 속출하자 이 백신의 1차 접종을 즉시 중단했다. 연합뉴스

브라질 보건당국이 11일(현지시간) 임신부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유보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이런 조처가 이 백신을 맞은 임신 23주차 35세 여성이 10일 뇌졸중으로 사망한 뒤 이뤄졌다고 전했다.

슬로바키아 보건부도 이날 AZ백신의 1회차 접종을 유보한다고 발표했다. 지난주 이 백신을 맞은 47세 여성이 사망한 뒤 보건당국은 이렇게 결정했다. 다만 이미 AZ 백신을 한 번 맞고 별다른 이상 반응이 없다면 2회차에도 이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접종 대상을 60세 이상으로 제한했던 독일은 의사와 상담하는 조건으로 모든 성인 연령대로 확대하기로 했다. 반면 노르웨이 보건자문기구는 최근 혈소판이 감소하는 희소 혈전증 우려로 AZ 백신을 코로나19 백신 프로그램에서 제외하라고 권고했다.

AP통신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온타리오주도 희소 혈전증 가능성을 이유로 AZ 백신의 1회차 접종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캐나다에서는 AZ백신이 200만회 이상 접종됐고 희소 혈전증이 최소 12건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여성 3명이 숨졌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1, 2회차에 각각 다른 제조사의 백신을 접종하는 이른바 '교차 접종'에 대한 영국의 임상시험 결과를 보고 1회차에 AZ백신을 맞은 이에게 2회차에는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