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내 백신 1천420만회분 추가 도입…최대 1천300만명 접종 진행
정부는 상반기(5, 6월) 안에 코로나19 백신을 총 1천420만회분 들여와 최대 1천300만명에 대한 접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3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 점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백신 5∼6월 공급계획 및 국내 백신 개발 지원 방안'을 보고했다.
정부가 올해 확보한 백신은 총 1억9천200만회분(9천900만명분)이며, 이 가운데 412만회분은 이미 국내에 도입돼 333만여명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이 가운데 5, 6월에 들어오는 백신은 1천420만회분으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723만회분 ▷화이자 백신 500만회분 ▷코백스 퍼실리티 196만7천회분(AZ 167만회분, 화이자 29만7천회분)이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오는 14일부터 6월 첫째 주까지 총 723만회분이 순차적으로 공급된다"면서 "이를 통해 5월 중순부터 시작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을 차질없이 지원하고, 5월 하순부터 시행될 1차 접종도 속도를 내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각 제약사와 계약한 노바백스, 모더나, 얀센 백신도 상반기 내 도입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이다.
◆30세 미만 사회필수인력 내달 화이자 접종
'희귀 혈전증' 발생 우려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던 30세 미만 사회필수인력(경찰·소방)과 군 장병 약 64만3천명이 다음 달부터 화이자 백신을 맞게 된다.
사회필수인력이 19만1천명, 군장병이 45만2천명으로, 이들은 6월 중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이 진행된다.
지난달 26일부터 사회필수인력 등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이 시작됐지만, 젊은 층의 백신 접종과 희귀 혈전증 간의 관련성이 제기되면서 30세 미만은 접종 대상에서 아예 제외된 바 있다.
한편, 2분기 접종대상 고령층의 폭이 확대되면서 기존 65~74세로 예정됐던 AZ 백신 접종 대상자는 60세(61년 12월31일생)까지 대상이 확대된다.
예방접종 예약은 고령층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70∼74세는 오는 6일부터, 65~69세는 10일부터, 60~64세는 13일부터 예약이 가능하다. 오는 27일부터는 시행 기관이 전국의 위탁의료기관으로 확대된다.
아울러 만성 중증호흡기질환자(1만2천명), 유치원·어린이집·초등 1~2학년 교사와 돌봄인력(36만4천명)도 5월부터 AZ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화이자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75세 이상 고령층 349만4천명에 대해 정부는 당초 계획대로 6월 말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