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행정 퇴보, 지역 발전도 뒤처졌다

입력 2021-04-15 15:16:23 수정 2021-04-15 21:28:59

장 시장-시의회 사사건건 충돌
박정희 지우기·숲 조성 이견, 조직개편안 잇단 부결 사태
"개방형 공모 실패로 조직 침체, 직원 5%도 제대로 근무 안 해"

경북 구미시의회 본회의장.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시의회 본회의장. 매일신문 DB

경북 구미시가 2018년 민선 7기에 접어들면서 원활한 행정을 펴지 못해 지역 발전이 뒤쳐지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장세용 구미시장과 구미시의회가 사사건건 충돌하면서 협치를 제대로 못한 점이 이런 상황을 초래했다는 시각이 많다.

구미시는 그동안 소극적인 행정으로 KEC 구미공장 구조고도화 사업이 무산된 바 있으며 ▷구미 콘텐츠기업육성센터 구축 ▷탄소산업클러스터 시험생산동 신축 ▷로봇직업교육센터 구축 등도 국비를 확보하고도 실현하지 못했다.

게다가 잇따른 개방형 공모제(정책보좌관·경제기획국장) 실패로 인한 시청 직원들의 불만 표출에다 직원들의 특정부서 근무기피 현상 등이 겹치면서 조직의 활력도 상당히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미시에서 간부로 지내다 최근 퇴직한 A씨는 "시청 직원 1천795명 중 5%도 제대로 일을 하지 않는다. 직원들이 복지부동하고 행정조직이 느슨해졌다. 구미시 행정이 퇴보하면서 지역 발전이 최소 10년은 뒤쳐진 것 같다"고 했다.

구미 관가에서는 이런 배경에 장 시장과 구미시의회간의 끊임없는 불협화음이 자리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 시장은 2018년 7월 취임과 동시에 '박정희 흔적 지우기' 논란의 중심에 섰고 시청 새마을과를 폐지하려다가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샀다.

A 시의원은 "장 시장이 새마을과 폐지,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명칭 변경, 추모식 및 탄신제 불참 선언 등 과거사 지우기에 앞장서면서 시민 갈등과 분열을 초래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구미시 조직개편안도 번번히 시의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지난 12일 임시회에서 "잦은 행정기구 개편은 직원들의 업무능력과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지난달 구미시가 상정한 조직개편안을 부결했다.

구미시와 시의회는 최근 시의회 건물 1층 사무실 확보를 놓고도 갈등을 빚었다. 시의회는 정책지원 전문인력 12명의 사무공간이 필요하다며 시의회 건물 1층을 비워달라고 구미시에 요구했지만, 구미시는 이전이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버티고 있다.

앞서 2019년 4월에는 구미 무을면 돌배나무 숲 조성사업을 두고 구미시와 시의회가 첨예하게 대립했다. 당시 시의회는 구미시의 부실한 사업 추진 및 문화재 훼손을 이유로 사업 중단을 요구하며 장 시장의 책임론을 앞세웠다.

B 시의원은 "의회와 집행부의 협의가 안되는 것은 장 시장의 불통행정이 원인"이라며 "시의회의 역할은 시민들의 눈에서 집행부를 견제하는 것"이라고 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시의원 의견을 모두 들어줄 수는 없다"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간의 의견 조율이 잘 안 돼 집행부와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구미시와 구미시의회 갈등 현황

▷2018년 7월-박정희 흔적지우기 및 새마을과 폐지 논란

▷2019년 4월-구미 무을면 돌배나무 숲 조성사업 두고 첨예한 대립

▷2020년 하반기-시의회, 시 조직개편안 부결

▷2021년 초-시의회, 시가 사용 중인 시의회 건물 1층 비워달라고 요구

▷2021년 4월-시의회, 시 조직개편안 부결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