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오염수 방류결정 예정→정부 "국민 안전에 영향…심각한 우려" 입장

입력 2021-04-12 19:05:36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연합뉴스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연합뉴스

정부가 일본이 도쿄전력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해양 방류 방침을 굳혔다는 보도와 관련해 우려를 표명했다.

정부는 12일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는 이번 결정이 향후 우리 국민의 안전과 주변 환경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간 일본 측에 대해 투명한 정보공개 및 주변국과의 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을 강조해 왔으며 일본 측이 충분한 협의 없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결정하게 된다면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의 건강과 주변 환경 보호를 최우선 원칙으로 하여 방사능 측정을 대폭 확대하고 모니터링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며 "일본 측의 방류 결정 및 관련 절차 진행 과정을 지속 예의주시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해 지속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 전 과정에서 국제 환경·안전 기준을 준수하겠다는 입장이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IAEA의 모니터링을 받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는 IAEA의 모니터링팀에 정부가 추천한 전문가를 포함해야 한다고 일본 정부에 요청했지만, 아직 확실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9일 NHK, 교도통신 등 일본 현지 언론은 일본 정부가 오는 13일 관계 각료 회의를 열고 오염수 해양 방류를 공식 결정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인체에 영향이 없는 수준까지 오염수를 물로 희석해 순차적으로 방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 소위원회는 트리튬(삼중수소) 등이 포함된 오염수를 기준 이하 농도로 희석해 바다 또는 대기 중에 방류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봤다. 또 대기보다는 해양방류가 더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해양방류 시점을 2년 후로 잡고, 후쿠시마 제1 원전 부지에서 오염수 방류 준비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방류 시에는 트리튬 농도를 정부의 기준치의 40분의 1까지 희석할 계획이다.

앞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오염수 처리와 관련해 기시 히로시(岸宏)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을 총리 관저에서 면담하는 등 최종 조정을 진행했다.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가 사실상 유일한 해법이라는 인식을 내비쳐왔으나, 현지 어민들은 이에 강하게 반대해왔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선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사고가 난 원자로 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돼 하루 평균 140t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해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하고 있는데, 지난달 중순 기준으로 약 125만844t(톤)의 오염수가 보관돼 있다.

오염수를 ALPS 장치로 여과해도 방사성 물질 트리튬을 제거하기 어렵고, 트리튬 이외의 방사성 물질이 오염수 내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