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점검회의 주재하고 이내 경제대책회의
개각도 곧 할 전망이지만 국면 전환은 쉽지 않을 듯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4·7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적극적으로 나서 정국을 수습하려는 시도가 감지된다.
코로나19 방역과 경제를 문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모습을 보이고 개각을 통해 새 모습도 나타내려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국면 전환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 관측이다.
문 대통령은 12일 청와대에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 점검회의를 주재해 백신 수급 계획을 포함한 방역대응 전략을 점검한다. 이어 15일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등을 불러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연다.
그러나 코로나19 방역의 경우, 최근 하루 600∼700명대의 확진자가 나오는 등 4차 유행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정부로서는 내놓을만한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백신이 대량으로 공급되어야 하지만, 물량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어 정부가 백신 공급 일정표를 정확하게 내놓을 수 없는 실정이기 때문.
15일 확대경제장관회의 역시 정부가 자랑할만한 몇몇 지표를 내놓겠지만 '자화자찬' 비난을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최대 이슈인 부동산 민심을 다스릴만한 정책 역시 당장 도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예정된 개각을 앞당기고 인적 쇄신 폭도 키울 것으로 보인다.
우선 대권 도전을 위한 정세균 총리의 사퇴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문 대통령은 조만간 후임 총리를 발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 총리의 사의 공식화 시점은 정 총리의 이란 방문(11∼13일) 직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경제라인 재정비 차원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교체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으며 후임으로 대구 출신 구윤철 국무조정실장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