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평취수장 공동이용 두고 끝없는 평행선
해평면 주민들 반대하면서도 지역 발전에는 관심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구미시민 설득해야
'대구와 구미, 상생할 수 있을까?'
16일 권영진 대구시장이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30년을 맞아 구미시민들에게 해평취수원 공동 이용을 거듭 호소하면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손 내미는 대구, 거부하는 구미
2010년부터 대구 취수원 구미산업단지 상류 이전 방안을 두고 대구와 구미는 갈등을 겪어왔다. 이후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요구하는 대구와 유량 감소 등을 이유로 거부하는 구미는 끝없는 평행선을 달렸다.
정부 용역을 통해 공동 이용을 하더라도 수질이 더 악화되지 않고, 수량에도 문제가 없으며, 상수원보호구역과 공장설립제한지역 등 입지 규제의 추가 확대도 없다는 게 확인됐다. 하지만 구미시민들은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 가변식 취수방식을 제안하기도 했다.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30만t을 취수하되 갈수기에는 가져오지 않는 대신 수질사고 등 비상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취수량을 하루 50만t으로 늘리는 방식이다.
당근책도 제시됐다. ▷취수원 공동활용지역 주민 편의 향상을 위해 매년 100억원 상생기금 지원 ▷구미5산단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간 연결도로 건설 등 1조원 규모의 국비 지원 사업 추진 ▷구미5산단 입주 업종 확대 등을 통한 분양 활성화 지원 ▷대구~구미 생활공동체 강화 등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가 지원할 수 있는 카드는 모두 내놨다고 보면 된다. 구미시민들이 대승적으로 판단해주길 바랄 뿐"이라고 했다.
◆활발한 물밑 접촉
대구시가 정부를 설득해 제시한 당근책에도 구미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지난해 11월 구미에서 열렸던 환경부의 대구취수원 이전 관련 연구용역안 설명회도 주민들의 극렬한 반대로 10여분 만에 무산되기도 했다. 강경 일변도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은 셈이다.
그럼에도 대구시는 물밑 접촉을 통해 해평면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하고 있다. 반대 여론 속에도 주민들 사이에 온도 차이가 느껴진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특히 해평취수원이 위치한 해평면 주민들은 반대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정부와 대구시가 제시한 지역 발전 방안에 관심이 없지 않다.
주변 지역에 비해 해평면이 점점 낙후되는 탓에 지역발전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도 적지 않다.
해평면 한 주민은 "구체적인 지역 발전 방안을 내놔야 한다. 설득은 안 하고 밀어붙이기 식으로는 해결이 될 수 없다"고 했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정부의 역할을 주문하고 있다. 먹는 물 문제는 국민의 생명권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중앙정부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 시장은 "구미시민들이 요구하는 사항들은 환경부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부처에 연관되는 만큼 관련 부처가 구미시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정해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년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등을 감안하면 지금이 해결해야 할 적기라는 시각도 있다.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취수원 이전 문제가 정략적으로 이용될 경우 그동안 논의가 원점으로 되돌아갈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럴 경우 대구와 구미가 상생할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