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G7 정상회의 참석 앞둔 文대통령 부부 "23일 AZ 접종"

입력 2021-03-15 17:33:23 수정 2021-03-15 20:59:32

65세 이상 백신 접종 일자 맞춰…안전·효과성 논란 불식 의미도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15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15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23일 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19 백신을 공개 접종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오는 6월 영국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참석을 위한 것으로 필수활동 목적 출국자 예방접종 계획에 따른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질병관리청의 예방 접종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미루어 문 대통령의 백신 접종 시기 결정에는 정부가 AZ 백신의 경우 1차 접종에 이어 10주가 지난 뒤 2차 접종을 하도록 한 점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참석하는 G7 정상회의는 오는 6월 11∼13일 영국에서 열린다.

이와 함께 강 대변인은 "23일은 만 65세 이상에 대한 AZ 백신 접종이 시작되는 날"이라며 "문 대통령 내외가 이날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안전성, 효과성 논란을 불식하기 위한 솔선수범의 의미"라고 말했다. 올해 문 대통령은 만 68세, 김 여사는 만 66세다.

한편, 문 대통령 부부 접종 때 G7 정상회의 순방을 위한 일부 필수 인력도 함께 접종을 받을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백신 한 병에 10~11명 접종이 가능해 문 대통령 내외 외에 수행 필수 인력 8, 9명이 접종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서울 마포구보건소를 방문, 이날부터 시작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장을 점검했다.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이날 오전 전국 65세 미만 요양병원·요양시설·정신요양·재활시설 종사자와 입원·입소자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2021.02.26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서울 마포구보건소를 방문, 이날부터 시작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장을 점검했다.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이날 오전 전국 65세 미만 요양병원·요양시설·정신요양·재활시설 종사자와 입원·입소자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2021.02.26 청와대 제공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