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침묵 속 내부선 사태 진화 부심
국민의힘은 19일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 사태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정치쟁점화를 경계하며 진화에 부심하는 등 온도차를 드러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대구 수성갑)는 이날 신 수석이 문 대통령의 만류에도 사의를 굽히지 않는 것에 대해 "청와대 참모들이 대통령을 거론하지 말아 달라고 했다"며 "대통령은 구름 위에 있는 신성한 존재냐"고 몰아세웠다.
주 원내대표는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검찰 검사장 인사는 대통령 결재 사안이고 민정수석 거취 문제도 대통령의 결심, 관장 사항인데 대통령을 거론하지 말라고 한다"며 "우리나라가 법치주의가 맞느냐"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을 향해 "무엇이 문제인지 직접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통령께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할 적임자'라던 신 수석 사태는 '윤석열 총장 시즌2'"라며 "문 대통령이 듣고 싶지 않은 말만 하는 신현수 수석을 그들은 참지 못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도 한 라디오방송에서 "문 대통령이 신 수석의 손을 뿌리치고 이광철 민정비서관을 통해 '조국 수석 기조'의 손을 들어줬다는 점에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비꼬았다. 국민의힘은 오는 26일 국회 운영위 업무보고에 신 수석을 출석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민주당은 사태가 확산돼 제2의 '추미애-윤석열' 사태로 비화하면서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주력했다.
이낙연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신 수석 문제에 대해 "소수의 고위급 소통이 계속되고 있다"며 "빨리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후 예정된 문 대통령과 여당지도부 간담회에서 이 문제가 거론될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신현수'는 금기어가 됐다. 9명이 잇달아 정국 현안에 대해 입장을 쏟아냈지만 신동근 최고위원 이외에는 누구도 신 수석을 입에 담지 않았다. 그는 "법무부장관과 민정수석 간의 갈등이 여과 없이 공개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 갈등이 관리되지 않고 이런 식으로 언론에 버젓이 공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