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의료공백 사망' 故 정유엽 군 父, 경산서 청와대까지 도보행진

입력 2021-02-18 17:02:28 수정 2021-02-23 14:26:09

의료공백 진상규명과 공공의료 강화 등 요구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공백 속 급성 폐렴증세로 숨진 고 정유엽 군의 부모가 지난해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아들의 사망 경위와 의료대응 문제점에 대해 증언하는 모습. 매일신문DB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공백 속 급성 폐렴증세로 숨진 고 정유엽 군의 부모가 지난해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아들의 사망 경위와 의료대응 문제점에 대해 증언하는 모습. 매일신문DB

지난해 3월 폐렴에 걸리고도 코로나19 감염으로 의심돼 치료 적기를 놓치고 숨진 경북 경산의 고교생 정유엽(당시 17세) 군의 아버지가 의료공백에 대한 진상규명과 공공의료 강화 등을 요구하며 경산에서 청와대까지 380㎞ 도보행진을 한다.

정 군의 아버지 정성재(54) 씨는 오는 22일 경산중앙병원을 출발해 영남대의료원을 거쳐 청와대까지 24일 동안 도보 행진을 한다. 이를 통해 유엽 군이 사망하기까지의 의료공백에 대한 진상규명, 재발 방지 대책 마련, 공공의료 강화를 요구한다.

직장암 진단을 받은 정 씨는 현재 투병 중이다. 이번 도보 행진은 '정유엽과 내딛는 공공의료 한 걸음 더'란 주제로 정유엽사망대책위원회 관계자 1명과 함께 시작하고, 주요 구간마다 대책위 관계자들이 동참하며, 시민들과의 대화시간도 갖는다.

행진 24일 차인 다음달 17일 청와대에 도착할 예정이며, 다음날인 18일 경산에서 정유엽 군 사망 1주기 추모제를 열 계획이다.

정유엽사망대책위원회가 지난해 경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의료공백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정유엽사망대책위원회가 지난해 경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의료공백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정 씨는 "아들 유엽이가 저 세상으로 떠난지 1년이 다 되도록 관련 병원이나 정부로부터 전화 한 통 받은 적이 없다. 아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것에 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공공의료 체계가 확립돼 다시는 불행이 없도록 대책을 세워줬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을 담아 도보행진을 하겠다"고 했다.

한편 정유엽 군은 지난해 3월 고열 증세로 집 근처인 경산지역 병원의 선별진료소를 찾았으나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돼 입원하지 못하고 귀가했다. 다시 하루 만에 상태가 악화된 유엽 군은 구급차 대신 아버지 차를 타고 영남대병원에 입원했지만 엿새 만에 목숨을 잃었다. 당시 유엽 군은 13차례의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