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 10명 중 9명은 수돗물 수질에 만족하고 8명은 마시겠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절반 정도의 세대가 수돗물을 마시고 있었다.
대구시가 지난해 12월 14일부터 24일까지 '찾아가는 수돗물 안심 확인제' 서비스를 이용한 5천518가구 중 545가구를 선정해 전화 응답한 200세대를 대상으로 벌인 조사결과다.
'찾아가는 수돗물 안심 확인제'는 지난해 시민들의 요청에 의해 검사해 온 '우리 집 수돗물 안심 확인제'를 보완해 수도 배관이 취약한 노후 주택이나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수질검사원이 직접 방문해 무료로 수질을 검사해주고 수돗물의 안전성을 홍보하는 제도다.
수질검사 이후 ▷수돗물 검사결과 만족도는 '만족한다(90.5%)'가 '불만족 한다(0.5%)'보다 ▷수질검사원 태도 만족도는 '만족한다(95.0%)'가 '불만족 한다(0.0%)'보다 높았다.
또 수돗물에 대한 인식변화는 '좋아졌다(79.5%)'가 '나빠졌다(0.5%)' 보다 압도적이었고 수돗물 안심 확인제 재신청 여부는 '하겠다(83.0%)'가 ' 안 하겠다(10.0%)' 보다 높았다. 이는 현장 수질검사로 수질 상태를 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전문성을 갖춘 수질검사원의 친절한 응대 등이 수돗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없앤 것으로 추측된다.
수돗물을 이용하지 않는 가구에선 수질검사 이전에 ▷수돗물을 식수로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막연한 불안감(48.0%)'이 '소독약 냄새(9.2%)'보다 높았지만, 수질검사 이후엔 앞으로 수돗물 음용 의향은 '마시겠다(79.6%)'가 '안마시겠다(20.4%)'보다 높았다.
과거에 각종 수질오염사고의 파동으로 말미암은 막연한 불안감이 늘 존재했으나 수질검사원이 세대를 직접 방문해 수돗물의 양호한 수질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신뢰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됐다.
수돗물 안심 확인제 인지도는 '모른다(58.0%).'가 '알고 있다(42.0%).'보다 높았다. 이는 지난해 처음 시행한 이 제도의 홍보 부족으로 앞으로 대중매체를 이용한 홍보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철섭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기다리는 민원 행정에서 벗어나 찾아가는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 수돗물에 대한 음용률과 신뢰도를 높이고 시민이 믿을 수 있는 수돗물 공급에 온 정성을 쏟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