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산발적인 코로나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주말 임시선별검사소를 운영하는 등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서울 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여파로 4일 0시 기준 1천20명의 확진자 발생 이후 6일 연속 1천 명 선 이하로 줄자 방역 당국은 "3차 대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무증상 감염이나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어 진단검사 등 방역 강도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이후 국채보상공원 등 4개 임시선별검사소의 진단검사 8천419건 중 24건이 무증상 확진자로 드러났다. 경북의 경우 확진자 4명 중 1명꼴로 감염 경로 파악이 안 돼 무증상 감염 요인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대구의 무증상 확진자 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낮았다. 그런데 대유행 이후 그 비율이 10%포인트 넘게 증가했다. 대구시가 특별방역대책 기간인 17일까지 새동산병원 등 5개 병원에 주말 임시선별검사소를 운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검사량이 줄어드는 주말에도 평소처럼 검사량을 유지해 무증상자 확인 등 감염 확산을 적극 차단하겠다는 복안이다.
문제는 이런 대응에도 자발적 검사 등 시민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무증상 감염이 진단검사에서 확인되고 그 결과에 따라 지역사회 감염 확산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의 59%가 무증상 감염자를 통해 이뤄졌다. 이는 한국도 무증상 감염자의 영향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말이다. 이로 볼 때 자발적 진단검사는 추적검사를 통한 발견 사례보다 지역사회 감염을 막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지금은 백신 접종 전까지 감염을 최대한 억제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무증상 감염이나 감염 경로 미상의 '조용한 전파'가 새로운 뇌관이 되지 않도록 모두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고 자발적인 검사에 협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