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지역 역차별" "최악의 크리스마스 선물"
코로나19 확진 수용자의 일방적인 경북 청송 소재 교도소 이감에 대해 지역민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다. 지역에도 연일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이번 결정이 '지방 역차별'이란 주장까지 들끓고 있다.
"크리스마스 최악의 선물입니다."
26일 한 지역민은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긴 한숨을 내쉬었다. 전국적인 유행에서도 다소 코로나 청정지역을 유지하던 청송이 최근 며칠사이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지역의 분위기가 흉흉하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동부구치소에 수용 중 확진된 400여 명의 경증 수용자들이 청송의 경북북부제2교도소로 28일 이감이 결정됐다. 경북북부제2교를 수용자 전용 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25일 이와 같은 결정을 한 뒤 26일 청송군 등에 일방적 통보를 진행하면서 기존 경북북부제2교 수용자 이감 등을 곧바로 진행하길 지시해 청송에는 그야말로 역대 '최악의 크리스마스 선물'을 전달한 것이다. 행정당국인 청송군에 조차 정부의 협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 배모씨는 "어제 결정한 내용을 오늘 언론을 통해 알게 됐고 알아 볼 시간없이 오늘 바로 진행되는 걸(이감) 눈으로 보고 법무부에 항의 전화를 했는데 전화를 받지 않는다"며 "정부와 질본 등 전화 문의를 다 돌렸지만 주말, 담당자 부재 등의 핑계로 '월요일 통보'라는 말만 듣고 실망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번 결정은 상당히 비상식적이다.
보통 지역에 생활치료센터를 설치할 경우 최우선시 되는 것이 지역의 여론이다.
청송은 앞서 지난 3월 대구 확진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지역의 소노벨 리조트를 생활치료센터로 지정해 운영하도록 협조했다. 당시 대구시와 경북도는 운영에 앞서 상당기간 청송을 설득하고 협조하며 지역민의 이해를 구했다. 지역 주민들도 지역 이기주의보다는 공동체 의식이 앞서 오히려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확진자들에게 쾌휴를 비는 현수막까지 걸며 그들을 응원했다.
그런데 이번 경북북부제2교 확진자 수용에 대해서는 지역민의 의사따윈 존중되지 않았다. 특히 이곳의 대다수 교정공무원은 청송 주민들이다. 이들은 정부의 결정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분위기지만 감염에 대한 공포와 불안감이 최고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정공무원은 "이번 결정으로 휴무에 들어간 직원들이 다시 교도소로 복귀해 비상근무체제를 진행하고 있으며 26, 27일 주말 내 이감과 28일 수용자 입소를 위한 준비로 정신이 없는 상황"이라며 "이건 하나도 문제되지 않는데 확진자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대부분 우울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