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등 여성 노동자 비중이 높은 업종 코로나19의 집중 타격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이 남성보다 여성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여성 실업자는 42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28.8%(9만6천명)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지난 2014년 7월(29.4%) 이래 최대치다. 같은 기간 남성 실업자(54만명)는 1.0%(6천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감소도 여성이 더 많았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1천171만8천명)는 1년 전보다 18만8천명(1.6%) 줄었다. 남성 취업자(1천552만3천명)는 8만5천명(0.5%) 감소하는데 그쳤다.
여성 취업자 수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큰 모습은 지난 3월부터 9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은 여성 노동자 비중이 높은 숙박·음식점업, 교육 서비스업 등 대면 업종이 코로나19의 집중 타격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 증감률을 산업별로 보면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7.4%), 숙박·음식점업(-7.1%), 교육서비스업(-6.7%) 등에서 작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판매 종사자(-6.2%), 서비스 종사자(-5.4%),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4.5%) 등이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1.7%)를 제외하고 여성 취업자는 모두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 근로자(-11.9%)가 감소 폭이 가장 컸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8.7%), 무급가족종사자(-5.5%),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3.3%), 임시근로자(-3.2%) 등이었다.
지난달 구직 의지가 없으면서 취업도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67만5천명으로 작년 동월대비 43만1천명 증가했는데 여성이 21만9천명, 남성이 21만2천명 각각 증가했다.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증가 폭은 지난 4월부터 남성을 웃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