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윤석열 징계 강도 강하다"…대구경북은 73.0%

입력 2020-12-17 09:59:42 수정 2020-12-17 10:10:5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부분 권역에서 '강하다' 비율 높아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2개월 정직' 징계안을 재가했다. 사진은 6월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6차 공정사회 반부패정책협의회에 참석한 문 대통령과 추 장관, 윤 총장(오른쪽)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의 절반은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가 '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16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500명에게 윤 총장 징계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49.8%는 '강하다'라고 답했다.

'약하다'는 답변은 34.0%였고, 6.9%는 '적절하다', 9.4%는 '잘 모르겠다'고 각각 답했다.

대부분의 권역에서 '강하다'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특히 대구·경북에서 '강하다'는 응답이 73.0%로 가장 많았고, '적절하다'는 응답은 0%로 눈에 띄었다. 반면, 광주·전라에서는 '약하다'라는 응답이 52.2%로 절반을 넘어섰다.

연령별로는 30대(57.6%)에서 '강하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여권의 콘크리트 지지층으로 불리는 40대(강하다 44.3% vs 약하다 45.8%)에서는 팽팽했다.

보수(75.8%)와 중도층(55.5%)에서는 '강하다'는 평가가 우세했지만, 진보층에선 '약하다'는 응답이 61.9%였다.

지지하는 정당별로도 결과가 달랐다. 국민의힘 지지층 내 84.0%는 징계 강도가 '강하다'라고 응답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 내 78.0%는 '약하다'라고 응답해 결과가 대비됐다. 무당층에서는 '잘 모르겠다'라는 응답이 28.8%로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강도에 대한 유보적 응답이 평균 대비 많았다.

이번 조사는 무선(80%)·유선(20%)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앞서 법무부 징계위원회는 두 차례 총 27시간의 마라톤 심의 끝에 16일 오전 4시쯤 윤 총장에 대한 정직 2개월의 징계 처분을 결정했다. 징계위는 "주요 재판부 분석 문건의 작성 및 배포, 채널A 사건 관련 감찰 및 수사 방해, 정치적 중립에 관한 위신 손상 등 4가지의 징계 사유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같은 날 문재인 대통령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제청한 윤 총장에 대한 징계안을 재가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