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서울 개최 연기' 日 보도에 靑 "결정된 바 없다"

입력 2020-12-03 20:33:59 수정 2020-12-03 20:55:30

문재인, 시진핑, 스가 요시히데. 매일신문DB, 연합뉴스
문재인, 시진핑, 스가 요시히데. 매일신문DB, 연합뉴스

3일 일본 닛케이(니혼게이자이) 신문이 한국, 중국, 일본 등 3국 정상이 만나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서울에서 개최되지 못한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청와대는 "결정된 내용이 없다"고 설명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단에 문자메시지를 발송, "한·중·일 정상회의와 관련해서는 결정된 바 없음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이날 닛케이 신문은 올해 한국이 의장국을 맡아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의 연내 개최가 무산됐고, 이에 우리 정부가 내년 초 이후 조기 개최를 제의했다고 구체적으로 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연내 개최가 이뤄질 수 있다"는 입장 역시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현실적으로는 올해가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데다 국내 코로나19 방역 상황 역시 3차 대유행 국면을 맞았기 때문에, 닛케이 신문의 보도 내용이 현실에 꽤 부합한다는 분석이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지난 9월 아베 신조 총리 후임으로 취임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화상회의 형식이 아닌 실제 첫 만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날 닛케이 신문은 코로나19 확산세 외에도 앞서 징용 판결에 따라 압류된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 매각을 피할 수 있다는 보증이 없을 경우 스가 총리가 한국을 방문하기 어렵다는 입장도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일본은 내년 여름 도쿄 올림픽 개최에 앞서 한국, 중국과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고,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마찬가지로 조 바이든이 새 대통령으로 당선된 미국에 더해 주변국인 한국, 중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내년 한일관계는 어려운 국면을 지속할 것으로 닛케이 신문은 전망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