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성향 파악부터 최종 모집인원 확인까지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변수 점검해야
정시는 대학입시를 마무리짓는 단계다. 수험생들은 가채점 결과에 더해 자신의 지원 성향, 전형 요소별 활용 요소 및 그에 따른 위치 판단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 지원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지원 성향 파악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수험생들이라고 다르지 않다.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냉정하게 기준을 세워 세 개 군 중 어디에 중점을 두고 지원할지 결정해야 한다. 내년까지 고려해 후보군을 추릴 것인지, 이번에 반드시 합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가 첫 번째 고려 사항이다.
대학을 중시하는 경우 지원 대학에서 하위 학과만 고려하기보다 모집인원이 많은 중·하위권 학과를 고려하는 편이 유리할 수 있다. 학과를 중심으로 지원한다면 여러 대학 중 군별 조합이나 점수 유·불리 등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입시 결과 분석
입시 결과는 수능 성적, 학생부 성적 자료, 경쟁률, 추가합격 순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성적 자료를 토대로 해당 년도의 지원자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최근 3개년 정도의 지원 및 합격 추이는 어떻게 되는지 미리 살펴볼 수 있다.
경쟁률은 모집인원 대비 지원자 수. 일반적으로 같은 합격선이라면 경쟁률이 높은 학과보다는 낮은 학과에서 합격할 가능성이 높다. 지원 대학, 학과의 미등록으로 인한 충원(추가) 합격 규모도 고려할 사항이다.
◆수능 반영 방법에 따른 유·불리 진단
정시 지원 전략을 짤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수능 영역별 조합 및 가산점,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반영 방식, 표준점수 등 활용 지표에 따라 유·불리 점검 등이 그것이다. 합격 가능성을 세밀하게 검토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한 대학 안에서도 모집단위별로 영역별 반영 비율이 다르다. 영어는 대학마다 다양한 영어 등급 환산 점수를 활용한다. 영어 등급 간 가산점 차이가 큰 대학에 지원한다면 국어, 수학, 탐구 영역 점수로 만회하기 어렵다.
◆미리 해보는 정시 지원
배치표는 정시 지원 대학 수준을 가장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지원 가능 대학을 1차적으로 선정할 때 편리하다. 다만 종이 배치표는 지원 가능 대학을 가늠해보는 정도로만 사용하고, 세부 사항은 대학별 환산식이 적용되는 프로그램 등을 이용한다.
입시기관들이 발표하는 지원 가능 점수와 자신의 점수를 모두 대학별 환산점수로 변환해보고 합격 가능성을 살펴야 한다. 입시기관별 지원 가능 점수가 다를 수 있어 여러 기관 점수를 비교해보고 지원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최종 정시 인원, 추가합격까지 확인
내년 1월 5일 수시 미등록 충원이 마감된다. 이후 각 대학은 수시 미등록 이월 인원이 포함된 최종 정시 인원을 발표한다. 수시에서만 선발하는 모집단위도 정시에서 선발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최종 확정된 정시 모집인원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대학별 환산식을 통한 합격 가능성 비교와 정시 최종 모집인원 확인까지 마쳤다면 지원하는 일만 남았다. 지원 대학, 학과를 결정할 때 미등록 충원합격 등록이 마감되는 2월 19일까지 합격할 가능성도 염두에 둔다.
도움말=지성학원 진학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