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말벌 몇 시간 만에 꿀벌 3만~4만 마리 살상
초당 400장으로 실시간 분류 기존 알고리즘 보다 3% 향상
이철희 국립안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양봉 농가에 가장 큰 피해를 주던 말벌을 탐지·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장수말벌과 최근 등장한 외래종 등검은말벌 등 5종의 킬러 말벌과 양봉 꿀벌에 대해 평균 초당 400장의 실시간 분류 처리가 가능하다.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수말벌은 몇 시간 안에 꿀벌 3~4만 마리를 사냥하는 살상력을 가졌다.
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서도 국내 벌꿀(천연 꿀 기준) 생산량은 지난 2014년 2만1천414t에서 2018년 5천395t으로 75%가량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말벌의 증가가 꿀벌 개체수 감소의 중요한 원인으로 손꼽힌다. 양봉 농가의 피해 중 장수말벌의 피해가 88.5%로 가장 높았다.
이에 이 교수팀은 실시간 딥러닝 기술의 하나인 YOLO와 기존 CNN기반 영상인식기술을 분석해 VGG19와 YOLO를 결합한 말벌 탐지·분류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모델을 이용해 6종의 벌을 분류한 결과 분류 정확도가 0.832로 기존 분류알고리즘보다 3%가량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말벌과 같이 움직임이 많고 크기가 작은 경우, 또 색상이 유사한 경우 분류가 어렵지만 이 교수가 개발한 방법은 탐지와 분류가 잘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안동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농업진흥청 '신농업 기후변화 대응체계구축·농업부문 생산환경 변동 예측 및 평가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됐다"며 "앞으로 3년간의 개발과정을 거쳐 전국(400곳 이상)에 말벌 자동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