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년 뒤 삼성라이온즈파크 준공되면서 약속 지켜져
고 이건희 삼성 회장의 이력 중 대구와 엮인 또 하나의 이력이 있다면 '삼성라이온즈 구단주'다. 고 이 회장은 삼성라이온즈 출범 시점인 1982년 초대 구단주를 맡아 2001년까지 20년간 삼성라이온즈의 구단주로 활약해왔다.
1983년 2월 28일자 매일신문 3면에는 당시 삼성 구단주였던 고 이 회장과 프로야구 대구 동우회 남조양 회장의 '신춘대담'이 실렸다. 이 대담은 생전 언론과의 접촉이 많지 않던 고 이 회장의 흔치 않은 대담 기사라 주목된다.
남 회장이 "2군 도입에 삼성이 앞장섰으면 하는 향토팬들의 바람이 있다"는 말에 고 이 회장은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지금의 선수층으로는 무리가 있다"며 "선수가 확보되고 프로야구의 여건이 성숙되면 빠른 시일 내에 2군제 운영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고 이 회장은 이 대담에서 야구전용구장의 건설도 약속했다. 고 이 회장은 대담에서 "전용구장의 건립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며 "최소한 3만 정도의 관중석에 팬들이 야구를 즐기며 가족들과 보람있는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각종 여가시설 등을 갖추기 위해서는 최소한 1백억원 이상이 투자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대구시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부지와 교통시설 등 정책적인 배려가 따른다면 조속한 시일 내에 전용구장의 설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약속은 33년 뒤에 삼성라이온즈파크가 준공되면서 지켜졌다. 2만4천석 규모에 최대수용인원 2만9천명 수준이라 고 이 회장은 약속을 지킨 셈이다.
고 이 회장은 "제일모직 내에 신축하고 있는 전천후 연습장을 무료로 개방해 대구경북의 야구발전을 위해 계속적인 후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지원방안을 이야기하기도 했으며 "프로야구가 국민의 대중적인 스포츠로 뿌리박는 데 삼성이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평소 스포츠에 남다른 투자를 아끼지 않았던 고 이 회장의 이런 포부는 삼성라이온즈가 명문 구단으로 발돋움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