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
코로나19 감염 위험으로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관련 일자리가 빠르게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9월에는 헬스케어와 미용, 여가 등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일자리 83만개가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이종관 연구위원은 2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고용 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사라진 일자리 수가 4월과 9월에 각각 108만개, 83만개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예상되는 취업자 수 추이를 추정해보고 이를 실측치와 비교해 증감 추이를 산출했다.
특히 코로나19가 지역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급격히 줄여 고용 충격이 집중됐다고 진단했다.
이로 인해 5월에는 사라진 전체 일자리 92만개 중 지역서비스 일자리가 84만개로 무려 91%에 달했다.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등을 의미한다.
이 가운데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업종은 헬스케어, 미용, 여가, 교육, 여행 등이다. 상대적으로 생활에 덜 필수적인 서비스 업종에 대한 소비를 더 줄였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연구위원은 지역서비스업을 넘어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교역산업에도 고용 충격이 점차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조업에서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모두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10년에 걸쳐 관련 서비스업 일자리도 해당 제조업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8월과 9월에 교역산업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각각 15만개, 19만개로 사라진 전체 일자리의 26%, 23%를 차지한다. 3~7월 중에는 9~15% 비중을 차지했다. 통상 교역산업에서 일자리 증가는 지역서비스업에 대한 수요 확대로 이어져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낸다.
이 연구위원은 교역산업은 단기적으로 고용 유지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문했다.
교역산업에서는 일자리가 사라지면 단기간에 다시 생기기 어렵고 지역서비스업에 2차 고용 충격을 주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