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국감현장] 행정통합·통합신공항 관련 질의 쏟아져
대구, 경북 자산 흡수 우려에 "행정기관 안동 유치 약속 계획"
"지자체 통합 법안 만들어 주길"…철도·도로 등 정부 지원 부탁
2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린 경상북도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등 지역 최대 현안을 두고 여야 의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
◆이철우 "대구는 뉴욕, 안동예천은 워싱턴처럼"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안동예천)은 "대구경북이 워낙 낙후돼서 통합으로 위기를 뚫고 나간다는 진정성은 의심하지 않지만, 효과에 대해선 이견이 있다"며 "통합이 됐을 때 대구가 블랙홀처럼 경북의 자산을 끌어 모으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대구에 빨리지 않는가 하는 우려가 있는데 (통합 전) 행정기관은 안동에 있어야 한다는 약속을 해야 할 것"이라며 "행정중심도시로서 안동과 예천은 워싱턴처럼, 대구는 뉴욕처럼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다.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들의 반대 의견이 상당하다는 김 의원의 지적에 이 지사는 "통합을 위해선 주민 공감대 형성이 첫 번째"라며 "주민투표를 통과하지 않으면 한 발짝도 못 나간다"고 강조했다.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일부에선 행정통합이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한다. 특히 도청이 있는 안동과 예천이 무용지물화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이 지사는 "균형발전 차원에서 (통합 후) 모든 새로운 행정기관은 경북 북부로 보내겠다. 통합을 시작할 때 조약을 넣을 것"이라고 답했다.
◆박재호 "대구경북 통합이 좋은 선례 되길"
부산 남구을이 지역구인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좋은 선례가 되길 바란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박 의원은 이 지사에게 "수도권 집중이라는 악순환이 지속하고 있다.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의 새 미래를 위해선 이를 막아야 골고루 발전한다"며 "통합 과정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 기록을 잘 남겨놓으시면 다른 지자체 (통합에) 수월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모범 사례로 기록에 잘 남겨놓아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이 지사는 "대구경북이 앞장서고 있지만 쉽지가 않다. 행안위 차원에서 광역 통합, 지자체 통합 등의 기본을 만들 수 있는 법안을 만들어달라"고 했고 박 의원은 "언제든지 함께 하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균형 발전을 위해선 전주-김천 동서연결철도 건설이 필수라며 "영호남 상생 노선이라고 할 수 있는데 노선 건설 필요성과 기대효과는 무엇이냐"고 질의했다.
이 지사는 "11월 9일 전북지사와 함께 건의문을 중앙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라며 "교통망이 수도권은 거미줄처럼 엮여 있는데 지방은 서로간에 너무 멀다. 반드시 추진될 수 있도록 의원님들께서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원희룡, 최문순 덕에 무난한 국감
김형동 의원이 "통합신공항 주변 인프라와 관련한 계획은 무엇이냐"고 묻자 이 지사는 "군공항은 K-2 땅을 팔아서 이전하는 것으로 법대로 하면 된다. 하지만 민간공항도 같이 옮기게 되는데 연결 철도와 도로는 정부에서 지원을 해줘야 한다. 어려운 과정인데 의원님들께서 신경을 써달라"고 했다.
이 지사는 또 "우리가 이전을 확정하고 나서 광주에서 벤치마킹을 다녀가는 등 전국적인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긴급재난지원금과 관련, "태풍,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재난이 코앞에 올 게 보이는데 아무리 급하다고 해서 재난관리기금 등을 다 털어 쓰는 게 맞느냐"며 "제일 많이 쓴 게 경북이다"라고 물었다.
이 지사는 "경북이 코로나19로 가장 먼저 위급한 상황이 닥쳐서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게 됐다"며 "중위소득 80%까지 지급하니 2천600억원이었다. 재난관리기금과 정부지원금 합쳐서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재난관리기금은 태풍 등 다른 재해에 쓸 수 있는 200억원을 충분히 남겨두고 목적에 맞게 사용했다"며 "이후 태풍이 오고 했는데도 집행에 아무 문제가 없었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국정감사는 경상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제주도 등 4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동시에 진행된 가운데 이 지사는 상대적으로 질의가 많지 않았다.
대권 도전을 공식화한 원희룡 제주도지사에게 질의가 집중됐고, '부실 사업' 논란에 휩싸인 강원 레고랜드로 인해 최문순 강원도지사에게 강도 높은 질의 공세가 쏟아진 탓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