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이율배반 설명에 국민만 '불안'
질병관리청이 유통과정에서 온도 일탈 문제가 불거진 독감백신에 대해 안전성에 "이상이 없다"고 밝히면서도 효능 저하가 우려된다는 이유로 48만명분(도스) 독감백신을 수거하기로 해 '이율배반'이라는 국민적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
전문가들과 일부 시민들은 "효능 저하 등이 우려된다는 것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말과 무슨 큰 차이가 있느냐"면서 "정부가 독감백신 관리 부실에 따른 책임을 희석시키기 위해 언어 유희를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독감 백신 유통 과정에서 온도 일탈이 발생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불거질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고온에서 백신이 보관되면 백신 내 단백질의 화학적 변화가 초래되어 효능이 떨어지고, 저온일 때는 물리적 형태의 변화를 가져와 접종 과정에서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물이나 액체류 음식을 얼렸다가 녹일 때 뿌옇게 침전되는 현상이 발생하듯이 백신이 동결될 때에도 마찬가지 일이 벌어진다"면서 "가느다란 주사 바늘을 통해 독감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 특성상 이같은 물리적 변화는 주사관이 막히는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7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독감백신 중 일부가) 상온에 노출이 됐지만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고 품질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품질에 우려,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일부 백신에 대해서는 수거 조치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질병관리청은 유통 과정 중 상온노출이 의심돼 품질 검사를 진행한 독감백신으은 모두 539만 도스이고, 이들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의 안전성 및 품질 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효능 저하가 우려되는 48만 도스의 독감백신에 대해서는 전량 수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일부 효능이 없을 수도 있는 '물백신' 가능성이 있어 해당 물량의 접종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게 질병관리청의 설명이다.
수거 방침이 결정된 독감백신 48만 도스는 '야외 주차장 바닥에 노출된 17만 도스' '섭씨 0도 미만 온도로 운송된 27만 도스' '온도 일탈 상태로 13시간 넘게 배송 차량에 보관된 2천도스' '개별 운송을 통해 온도가 확인되지 않은 3만도스' 등이다.
한편 정부는 무료 독감백신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예방접종전문가위원회를 거쳐 연령별 접종 일정 조정 등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한 뒤 이달 12일쯤부터 재개할 예정이다.
정부가 올해 국내 총 공급 독감백신 물량을 2천964만도스로 계획했다. 이 중 국가가 총괄계약 방식으로 확보하는 물량 1천259만도스와 12세 이하 어린이 및 임신부, 지자체 자체 구매분 그리고 국방부 사용분 총 585만도스가 더해진 1천844만도스가 공공사용 물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나머지 유료 공급분 1천120만도스 중에서 105만도스를 정부가 315억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무료 전환을 추진하기로 했다. 의료급여 수급권자 70만명, 장애인 연금·수당 수급자 35만명이 그 대상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