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李 대통령 사건 보고 받고도
남북간 전면적 대화 제의하자 맹공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숨진 사건으로 정치권에서는 2008년 이명박 정부 시절 발생한 금강산 관광객 고 박왕자 씨(당시 52세) 피살사건이 회자된다. 여야가 12년 전과 다른 목소리를 내어서다.
2008년 7월 11일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군 총격으로 숨졌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당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여당이었던 한나라당(지금의 국민의힘)은 즉각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유감스럽고 납득이 안 간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와 아울러 북한에게도 진상조사와 검증 요구에 적극 협조할 것과 현재 북한에 있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며 진상 규명을 강조했다.
홍준표 당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사건 사흘 후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남북 합동조사를 거부하는 것도 대한민국 국민을 분노케 한다. 사죄하고 진상규명 협조 및 재발방지 약속을 해야 한다"며 "이 문제로 더 이상 남북관계가 경색돼서도 안 된다"고 했다.
반면 야당이었던 통합민주당(지금의 더불어민주당)은 정부 비판에 집중했다. 민주당은 사건 당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명박 당시 대통령에게 "이런 중대한 사안이 발생했는데 전후 사정을 감안해서 조금 더 신중하게 말씀을 하셨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지적드린다"고 했다.
사건이 벌어진 날 이 대통령이 사건을 보고 받고도 18대 국회 개원식 시정연설을 통해 남북간 전면적 대화를 제의한 점을 지적한 것이다.
민주당은 사건 이튿날에도 긴급 최고위원회의 후 "이런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발생한 데는 정부의 안전관리 대책이 미흡했기 때문"이라며 "정부는 재발방지대책을 면밀하고 신속하게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국무총리인 정세균 당시 민주당 대표도 7월 1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의 위기관리시스템에 문제가 있는게 아닌지, 남북간 대화 시스템이 완전히 무너진 것은 아닌지 걱정이 크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