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日스가, 첫 정상통화서 한일관계 해결 실마리 찾나

입력 2020-09-23 20:00:18

문대통령, 대화·소통 강조할 듯…갈등현안 언급 가능성 낮아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의 첫 정상통화가 오는 24일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어떤 대화가 오갈지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 민영 방송인 후지뉴스네트워크(FNN)는 23일 '한일 정상의 24일 전화회담 조율'을 보도했다.

이에 청와대는 "확인해 드리기 어렵다"며 첫 통화 시점에 대해 함구했으나, 이미 취임 축하 서한과 답신을 한차례 주고받은 만큼 두 정상이 조만간 통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가 첫 직접 소통에서 갈등 현안을 두고 깊이 있는 논의를 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일단 문 대통령이 일본을 '가장 가까운 친구', 스가 총리가 한국을 '중요한 이웃'이라고 각각 표현한 만큼 두 정상은 먼저 한일관계를 더욱 발전시키자는 취지의 언급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언론 역시 일제 강제동원 배상 소송이나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문제 등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문 대통령도 한일관계와 관련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원칙을 일관되게 고수해온 만큼 이번에도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를 위한 대화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상견례 차원의 통화가 '탐색전'이 될 수도 있다.

스가 총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일한(한일) 청구권 협정이 일한(한일) 관계의 기본"이라며 "그것에 꼼꼼하게 얽매이는 것(구속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의 판박이를 보는 듯한 이런 입장을 통화에서 내비친다면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첫 통화에서부터 아베 정권 시절의 불편했던 한일 관계를 이어갈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첫 한일정상 통화에서 아베 전 총리가 위안부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기대한다고 하자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맞선 바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