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0% 접종"…정부, 코로나 백신 3천만명분 확보 추진

입력 2020-09-15 13:12:43 수정 2020-09-15 14:12:03

집단면역 고려해 확보물량 설정…전국민 접종 목표로 단계적 추진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등과 협상…내달 예방접종계획 수립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에서 연구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윤선우 선임 연구원이 코로나19 중화항체 평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에서 연구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윤선우 선임 연구원이 코로나19 중화항체 평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민 60%가 접종할 수 있는 4천만명 분량의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나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를 위해 1차로 국민 60%가 접종할 수 있는 3천만명 분량의 해외 백신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또 향후 수급 상황과 국내 백신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추가 분량을 확보하는 등 전 국민 접종을 목표로 백신 확보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15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해외백신 개발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동시에 국내백신 개발 속도를 고려해 해외백신을 단계적으로 확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코로나19백신 도입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전 세계 백신 공급 체계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천만명분, 개별 기업과의 협상을 통해 2천만명분 등 총 3천만명 분의 백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1단계 확보 물량을 3천만명분으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우선접종대상자와 집단면역 수준을 함께 고려했다"며 "집단면역은 인구의 60∼70% 수준이 (면역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저 수준까지는 가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선구매 계약 비용 1천723억원을 질병관리청이 집행할 수 있도록 이미 확보해 둔 상태다.

정부는 앞서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를 위해 백신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지난달 31일 가입의향확인서를 제출했고, 이달 18일까지는 법적 구속력 있는 확정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선입금 납부는 다음 달 9일까지 할 예정이다.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와 동시에 글로벌 기업과의 협상을 통해 2천만명 분량의 백신 선구매도 진행한다.

현재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모더나 등과 협상을 진행 중이며 향후 우수한 백신이 개발되는 회사가 나오면 추가 협상채널을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정부는 선구매 계약은 신중하게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선구매 백신은 ▷안전성·유효성 검토 결과 ▷가격 ▷플랫폼 ▷공급 시기 등을 고려해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3천만명 분량의 백신을 확보한 이후에는 추후 수급 동향, 국내 백신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2단계 백신 구매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전 국민이 접종 가능한 백신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해외백신 구매와 별도로 국내기업의 백신 개발지원 대책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백신개발기업 3곳에 대한 임상시험 비용 지원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임상환자 모집 등 임상 과정에서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국가 감염병 임상시험지원센터' 구축에도 나섰다.

또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기업애로사항해소센터'를 운영해 현재까지 접수된 216건 중 135건(81건 조치중)을 해결했다.

정부는 다음달까지 예방 접종 대상을 누구로 할 것인지 등의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백신 접종 비용은 심의를 통해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