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연일 8만명 육박…미국·브라질과 달리 확산세 지속
'방역 대신 경제' 주력…공식 통계의 수십배 이미 감염 주장도
'인구 대국' 인도의 코로나19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바이러스 폭증 이유와 확산 전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도 보건·가족복지부와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인도의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30일 7만8천761명으로 발병 후 일일 기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31일에도 7만8천512명을 기록, 연일 8만명에 육박했다. 이로써 인도의 누적 확진자 수는 362만1천245명(누적 사망자 6만4천469명)이 됐다.
현재 미국(617만3천236명), 브라질(386만2천311명, 이하 인도 외 월드오미터 기준)에 이어 누적 확진자 수 세계 3위인 인도는 지금 같은 추세라면 조만간 브라질을 제치고 2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때 5만∼7만명을 넘나들었던 미국과 브라질의 신규 확진자 수는 최근 1만∼4만명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와 관련,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는 31일 전문가를 인용해 검사 수 확대, 봉쇄 완화를 통한 경제 활동 재개, 바이러스 확산에 무신경한 사회적 분위기 등이 엮이면서 확진자가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달 8일 70만건 수준이던 검사 수는 최근 하루 100만건을 넘어섰다. 검사 수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감염자 수도 늘어났다는 것이다. 특히 인도의 확진자 수는 지난 5월 코로나19 확산 억제 봉쇄조치가 완화되면서 급증했다. 3월부터 도입한 전국 봉쇄령으로 인해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생기자 인도 정부가 방역보다는 경제 회생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와중에 대도시에서 일자리를 잃은 수백만 명의 이주노동자가 고향으로 이동하면서 바이러스가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6월까지는 뉴델리, 뭄바이 등 대도시에서 확진자가 쏟아졌지만 지난달 중순부터 푸네, 벵갈루루 등 다른 도시와 시골로 확산세가 번졌다. 정부의 정책 실패도 바이러스 확산에 기여했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가 이주노동자의 대규모 귀향 등을 예상하지 못하면서 봉쇄 정책은 사실상 실패했고, 바이러스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는 것이다.
인도의 코로나19 확산세는 9월 이후에 정점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상황이며 9월에도 정점이 오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13억8천만명에 달하는 거대한 인구와 시골 등 전역으로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새로운 '핫스폿'이 끊임없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열악한 의료 인프라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쉽지 않은 밀집 거주 환경 등도 바이러스가 무방비 상태로 퍼져 나갈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다.
와중에 인도는 9월부터 지하철 운행 재개 등 봉쇄 조치를 더 완화할 방침이어서 바이러스는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일각에서는 정부 공식 통계가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한다. 최근 민관이 진행한 여러 항체 형성률 조사를 근거로 공식 감염자 수의 수십 배에 달할 정도로 인도 국민 상당수가 이미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누적 확진자 수는 이미 수억명에 달했을 수 있다는 추정도 가능하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