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복원 다짐' 임청각역사관 건립 미지근, 왜?

입력 2020-08-05 16:19:13 수정 2020-08-05 18:22:41

경북도·안동시 국비 지원 요청에…기재부, 형평성 운운 원칙론 대응

복원사업 이후 중앙선 철로가 사라지고 낙동강과 이어진 임청각의 모습 조감도. 안동시 제공
복원사업 이후 중앙선 철로가 사라지고 낙동강과 이어진 임청각의 모습 조감도. 안동시 제공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성지, 경북 안동 임청각에 역사문화공유관(이하 임청각역사관)을 건립하는 사업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낙동강변에 자리한 임청각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 등 11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대한민국의 대표적 독립운동 유적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임청각을 강제로 훼손한 뒤 집 앞에 철도를 건설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문재인 대통령도 2017년 8월 광복절 경축사에서 "임청각은 독립운동의 산실이고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2016년 5월 임청각 방문 당시 "완전한 복원을 다짐합니다"라는 방명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에 문화재청은 경북도·안동시와 함께 2019년 1월 임청각 종합정비계획을 완성하고 핵심사업의 하나로 임청각역사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 70억원을 들여 임청각 일원 연면적 1천220㎡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 역사관을 지을 계획이다.

경북도와 안동시는 임청각의 역사적 재조명을 위해 역사관 건립에 당연히 정부도 비용을 보태야 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더해 경북도는 역사관이 완공되면 국가 현충시설 지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 예산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각종 박물관 등 건립 사업은 지방자치단체 사무여서 국비를 투입하면 다른 지자체와 형평성이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독립운동 성지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대통령도 애착을 갖고 있는 사업에 형식적 원칙론으로 대응한 셈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달 말쯤 국회에 제출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임청각역사관 관련 국비가 반드시 반영되도록 기재부를 계속해서 설득할 방침"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