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들의 말 속에는
최서림(1955~ )
내 아들의 말 속에는 세심해서 상처투성이인 나의 말이 들어있다 거간꾼으로 울퉁불퉁 살아온 내 아버지와 내 아버지의 아버지의 꺼칠꺼칠한 말이 숨 쉬고 있다 조선 후기 유생 崔瑞琳의 漢詩가 들어있다 초등학교 3학년 내 아들의 비뚤비뚤 기어가는 글자 속에는 내 아버지처럼 글자 없이도 잘 살아온 이서국 농부들이 공손하게 볍씨를 뿌리고 있다 눈길을 더듬으며 엎어지며 쫓기듯 넘어온 알타이 산맥의 시린 하늘과 몽골초원의 쓸쓸한 모래먼지 냄새가 박혀있다 바벨탑이 무너진 후 長江처럼 한반도까지 흘러들어온 광목 같은 말에는 우리 아버지와 아버지의 아버지들이 흘린 눈물과 피와 고름만큼의 소금이 쳐져 있다 내가 살고 있는 堂고개에는 비린 말들이 60년대 시골김치처럼 더 짜게 염장되어 있다 가난해서 쭈글쭈글한 말들이 코뚜레같이 이 동네 사람들의 코를 꿰고 몰고 다닌다
글씨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을 추론하는 학문이 있다고 들었다. 말투도 그럴 것이다. 손글씨가 멋진 사람들은 늘 부러움의 대상이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글씨를 크게 쓰는 분은 문인수, 김선굉 시인이다. 이분들의 글씨 몇 자는 한 페이지를 꽉 채울 만큼 크고 활달하다.
'열두 살에 죽은 친구의 글씨체로 편지를 쓴다'고 한 신해욱 시인의 글씨체는 어떤 것일까? 한 번도 말한 적이 없지만, 장석남 시인이 돌이나 나무에 새긴 도장을 하나 갖고 싶었다. 그의 성격과 악력이 고스란히 들어 있는 도장을 간직한다는 것은 필정(筆情)을 느끼고 싶다는 말이다.
글씨에 못지않게 중요한 건 그 사람의 말투다. 내가 좋다고 생각한 말투는 나희덕 시인의 것이다. 서두르지 않고, 어렵지 않고,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일정한 보폭으로 정확히 구사하는 것이 참 대단해 보였다.(대부분 시인들은 버벅거리거나 중언부언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버지와 나와 아들로 이어지는 이 시 속의 말들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그것은 '꺼칠꺼칠한 볍씨 같은 말이고, 광목 같은 말이고, 눈물과 피와 고름만큼의 소금이 쳐져 있는 말이고, 더 짜게 염장되어 있'는 말이다. 가난해서 쭈글쭈글한 말이지만 곰곰 들여다보면 자긍심이 느껴지는 말이다.
배운 사람들의 말은 위장되어 있지만, 좋든 싫든, 옳든 그르든 못 배운 사람들의 말은 거짓이 없다. 아버지보다 더 배웠지만 늘 아버지보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은 '말'이다. 아버지의 지혜다. 내가 쓰는 말은 지식과 가까울지는 몰라도 아버지의 말처럼 삶의 지혜와 현답으로 채워져 있지는 않다. 말은 공부를 많이 한 사람보다 경험을 많이 한 사람의 것이 더 옳고 정확하다.
이제 글자를 모르고도 잘 사는 법과 이치를 알던 사람들은 사라졌고 그런 시대도 갔다. 청도군 풍각이랬나 이서랬나, 시인의 고향 사람들이 쓰던 울퉁불퉁한 말이 듣고 싶지만 어쩌랴. 문명의 발전(?)으로 인해 이제 더 이상 말도 글씨도 유전되지 않는 시대가 이미 우리 앞에 와 있는 것을.

시인 유홍준: 1998년 『시와반시』로 등단. 시집 『喪家에 모인 구두들』 『나는, 웃는다』 『저녁의 슬하』 『북천-까마귀』 『너의 이름을 모른다는 건 축복』이 있다. 시작문학상 이형기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