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의원 “교통단속카메라 설치율 노인보호구역 2%, 장애인보호구역 5%, 교통약자 보행안전 강화 위해 설치율 제고 시급”
윤두현 미래통합당 국회의원(경산·,사진)은 5일 노인보호구역 및 장애인보호구역 내 속도위반 및 불법주정차 단속을 위한 교통단속카메라 설치를 확대하는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대표발의 했다.
윤 의원은 "현행법은 어린이보호구역 외에도 교통약자인 노인과 장애인의 통행이 잦은 시설의 주변도로를 노인 또는 장애인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지정된 보호구역 내 교통단속카메라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교통사고 예방에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경찰청이 윤 의원실에 제출한 노인 및 장애인보호구역 내 교통단속카메라 설치 현황에 따르면, 전국 노인보호구역은 1천932개소이나 교통단속카메라 설치 대수는 전국 39대로 설치율이 2%에 불과하다. 특히 경북지역에는 한 대도 설치되지 않았다. 장애인보호구역의 경우에도 전국 97개소 중 교통단속카메라 설치대수는 5대로 설치율이 5%에 불과한 실정이다.
어린이보호구역의 경우, 지난해 '민식이법' 통과 시(12월 24일) '무인 교통단속용 장비 우선설치'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의 모든 어린이보호구역에 무인 교통단속용 장비를 100% 설치한다는 계획이 마련됐다.
이에 윤 의원의 개정안은 어린이보호구역과 마찬가지로 노인보호구역과 장애인보호구역에 교통단속카메라(무인 교통단속용 장비)를 우선적으로 설치하도록 해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을 강화토록 했다.
한편 경찰청이 윤 의원실에 제출한 '연도별 교통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교통사고 건수는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 22만여건 수준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어린이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해 1만1천54건으로 9년만에 21.5%가 감소한 반면, 노인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해 4만645건으로 57.5%(1만4천835건)가 늘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중 노인비율은 지난해 57.1%로, 이는 2010년 46.4%에서 10.7%p 늘어난 수치다. 반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 중 어린이비율은 지난해 1.5%로 2010년 3.8%에 비해 오히려 2.3%p 줄어 크게 감소하는 추세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