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최숙현 선수의 죽음 뒤에는 철인3종협회의 안이한 상황 인식과 협회 운영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협회는 지난 2월 초순 최 선수의 진정서를 접수하고도 이어 열린 정기 대의원총회에서 이 문제를 다루지 않고 도쿄올림픽 출전 등 특정 선수의 성적에만 매달린 사실이 내부자 폭로와 총회 회의록을 통해 밝혀졌다. 결국 큰 대회 성적만 바라보는 고질적인 엘리트 체육의 병폐와 선수 인권을 도외시하는 협회의 그릇된 판단이 비극을 낳은 것이다.
이번 사건은 최 선수에게 가혹 행위를 일삼은 감독과 운동보조사, 동료 선수에게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책임을 통감해야 할 주체는 바로 협회 집행부다. 대의원총회에 앞서 진정서 접수 등 최 선수 사안이 이미 불거졌다. 그런데도 올림픽 이후로 조사와 징계를 미루자는 목소리가 내부에서 우세했다는 것이다. 특히 "가해자로 지목된 경주시청 팀 동료 선수의 도쿄올림픽 출전이 이 문제로 차질을 빚을 것을 의식해 협회가 조사와 관련자 징계 등 조치를 미뤘다"는 의혹이 내부자 입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왔다.
만약 이 진술이 사실이라면 협회가 특정 선수의 성적을 위해 다른 선수에게 가해진 집단 괴롭힘 등 인권 침해 사실을 공론화하지 않고 묵살했다는 뜻이다. 문제점을 협회가 알고도 아무런 조치 없이 사실상 방조했고 마침내 돌이킬 수 없는 비극을 부른 것이다.
무엇보다 어처구니가 없는 일은 협회가 가해 당사자인 감독의 "문제없다"는 말만 믿고 사안을 마무리했다는 점이다. 박석원 협회장은 얼마 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 같은 발언을 했다. 이러니 선수 인권보다 특정 선수와 지도자의 사기 진작이나 포상금 문제가 더 중시되는 등 앞뒤가 뒤바뀌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대한체육회 차원의 진상 조사와 협회에 대한 문책이 뒤따라야 한다. 성적과 선후배 위계 질서에 매몰된 체육계의 잘못된 풍토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엄한 사후 조치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