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심리학과 박사과정생인 이경면(제1저자) 씨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를 통해 목표지향적 행동에 관여하는 여러 대뇌피질 영역들이 명확히 구분되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규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인간의 목표지향적 행동에 관련된 뇌 기제를 더 구체적으로 밝히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로사이언스 레터스' 7월 13일자에 게재됐다.
대뇌의 겉 부분인 '대뇌피질'은 목표지향적 행동에 필요한 다양한 인지기능을 담당한다. 하지만 피질의 세부 영역들이 인지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씨는 대뇌피질의 기능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목표 방향이 아닌 다른 곳으로 주의를 이끄는 외부 간섭이 있을 때, 참가자들이 원래의 목표 방향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여러 인지 통제 기능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하고, 다양한 대뇌피질 영역의 활동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해 기록했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여러 피질 영역들이 세부 통제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전 연구들에서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했던 세부적인 통제 기능에 관련된 대뇌피질의 영역을 그 기능에 따라 독립적인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