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라는 표기를 앞으로 H.O.T. 공연과 굿즈 제품 등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허법원 2부(김경란 부장판사)는 H.O.T. 콘서트 기획사 솔트이노베이션이 김모 SM엔터테인먼트 전 대표에게 낸 상표권 등록 무효 소송에서 원고(솔트이노베이션) 청구를 인용했다.
앞서 H.O.T. 재결합에 따른 콘서트 준비가 진행되고 있던 2018년쯤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로부터 상표권 침해 중지 요청 내용증명을 받았다.
H.O.T. 상표권은 김 전 대표가 지난 2010년 등록을 마친 것이다.
이에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를 상대로 해당 상표권의 등록 무효 심판을 특허심판원에 청구하기도 했지만 기각된 바 있다.
솔트이노베이션은 당시 "김 전 대표가 등록한 H.O.T. 상표는 먼저 사용되던 상표와 동일 및 유사해 오인할 염려가 있다"고 청구했는데, 이에 특허심판원은 김 전 대표를 선 사용상표 사용자로 봤던 것이다.
이 때문에 H.O.T.는 H, O, T 등 알파벳 3개와 온점(.) 3개를 조합한 표기 대신 'High-Five of Teenagers'(하이 파이브 오브 틴에이저스)라는 문구를 공연 등에 대신 써야 했다.
그런데 이 판단을 이번에 특허법원이 잘못됐다고 판단한 것이다.
H.O.T. 상표 권리자는 김 전 대표가 아니라 SM엔터테인먼트라는 게 근거이다.
재판부는 "피고(김 전 대표)는 H.O.T. 가수들로부터 상표 사용 허락 동의서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이 때의 동의는 1996~1997년 출원한 상표 등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동의서에는 미성년자였던 H.O.T. 가수들의 날인만 있는 점, H.O.T. 가수들이 이수만의 SM기획과 전속계약을 했던 점을 고려하면, 당시 김 전 대표에게 선 사용상표권을 양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김 전 대표가 H.O.T. 상표권 등록을 한 것에 대해서도 "선 사용상표가 이미 저명한 상태였고, 김 전 대표는 선 사용상표를 모방해 부당 이득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상표권을 출원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특히 앞서 H.O.T. 팬들도 강하게 문제 삼은 부분.
김 전 대표는 H.O.T.를 캐스팅한 연예기획자로 알려져 있다. 2001~2004년 SM엔터테인먼트 대표를 지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