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적 조직 결속 꾀하고 대구시에 공연 콘텐츠 제작 예산 증액 필요성 설득"
개관 30주년인 올해 김형국 신임 관장을 맞이한 대구문화예술회관은 새로운 30년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90년 대구경북 대표 공연장으로 등장한 문예회관은 대구오페라하우스·대구콘서트하우스 등 공연장 전문화가 이뤄지며 새로운 정체성 정립에 대한 요구에 직면해있다.
이를 위해 김 관장은 지난달 3일 부임한 후로 한 달 간 세 가지 굵직한 운영 목표를 세웠다. 시립예술단을 중심으로 공연 기능을 강화하며 내부적으로는 조직 결속을 꾀하고 시를 상대로 사업(콘텐츠 제작)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설득할 계획이다.
김 관장은 우선 "문예회관은 전시 기능이 매우 잘 돼있고, 대구사진비엔날레는 대표 콘텐츠가 됐다"며 "이제는 공연 기능도 분발할 필요가 있다. 복합공연장의 기능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시립예술단 중심의 공연 콘텐츠를 간판으로 내세울 생각"이라고 했다.
그간 문예회관은 시립국악단·무용단·극단·소년소녀합창단 등 4개 시립예술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 그는 ▷예술단 작품 수준 향상 ▷예술단 운영 예산, 시스템 재구성 ▷예술단 공연 레퍼토리 확보 ▷우수 예술단원을 활용한 아카데미 사업 운영 등을 통해 시민에게 한 발 더 다가가고, 시민에게 더 사랑받는 예술단을 만들겠다고 했다. 그는 "4개 예술단이 함께 공연 콘텐츠를 만드는 합동 프로젝트도 중장기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관장은 조직 내부적으로는 소통 강화, 협력 등 조직 결속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는 "현재 300명 규모의 큰 조직으로서 조직 구성은 잘 되어 있지만 조직끼리 따로 노는 느낌이 강하다. 예술단은 예술단대로, 전시·공연 기획팀은 기획팀대로 각자 자기 일에만 충실해왔던 것"이라며 조직 간 소통·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구상 중이다. 그러면서 그는 "아무리 좋은 취지라도 직원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면 직장은 행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직원과의 스킨십을 늘려 공감을 얻으며 변화를 꾀하겠다"고 했다.
김 관장은 '벤틀리도 기름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며 사업 관련 예산도 증액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수년간 총 예산 가운데 사업 관련 예산이 큰 틀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문예회관 하드웨어는 훌륭하고 예술단의 실력은 수준급이다. 그러나 콘텐츠를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이 필요하다"며 "고정적, 소모성 지출을 쥐어짜고, 증액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왜 늘어나야 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시대 공연·전시의 뉴노멀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김 관장은 소규모 앙상블로 연주단체를 꾸려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는 소규모 공연을 구상하고 있다. 성당못 부용정(20여 명 수용)은 이런 공연을 세우기에 안성맞춤인 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활용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 나가는 동시에 온라인 공간을 통해 모두에게 노출되는 만큼 콘텐츠의 질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김 관장은 "대구시청 신청사가 완공돼 도시의 중심이 달서구 일대로 옮겨오면 문예회관이 제2의 전성기를 열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문예회관과 일대 둘레길에 야관 경관조명을 설치하고, 미디어 파사드를 상영하는 등 밤이 아름다운 문예회관으로 거듭나 누구나 찾고 싶은 공간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
김여정 "확성기 철거한 적 없어…대북조치, 허망한 '개꿈'"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2.8%…취임 후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