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네이버페이에 후불 결제 허용 가닥에 역차별 논란도
IT기업들의 테크핀 전쟁은 '○○페이'로 불리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결국 판가름이 날 것으로 분석을 하고 있다. 간편결제 시장을 통해 '데이터-네트워크-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완성되고, 소비자들을 자사 플랫폼 안에 가두는 '자물쇠 효과'도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간편결제 거래액은 약 100조 ~120조 원 이상 규모로 추정된다. 2016년 26조에서 5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민 1명당 3개의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20대는 5명 가운데 4명이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간편결제란 신용카드나 계좌번호와 같은 결제정보를 모바일기기나 PC에 미리 등록하고 간단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인식만으로 상품·서비스 구매를 완료할 수 있게 만든 결제방식이다.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은 춘추전국시대를 맞았다. 지난해 금융위가 조사한 결과 은행 카드사, 전자 금융업자 가운데 총 39개사가 48종의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놓은 것으로 조사된다.
이 가운데 결제금액에 따른 사업자 점유율은 네이버페이가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삼성페이가 바짝 쫓고 있다. 다만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률은 카카오페이와 토스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간편결제 시장에 뛰어든 초기 목적은 모두 달랐다. 네이버 다음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는 빅데이터 수집, 이니시스, 다날 등 PG사는 수수료 수익, 제조사는 자사 단말기 판매 촉진, 유통사는 수수료 절감 등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간편 결제가 본격적인 수익 모델로 진화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간편결제 시장을 둘러싼 빅테크 기업의 독과점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네이버페이의 후불 결제 서비스가 이르면 내년부터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카드사와의 역차별 논란이 거세다.
현행 간편 결제는 선불 결제 방식으로 미리 충전된 금액을 사용하는 체크카드와 유사하다. 후불 결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자 금융위원회는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최대 100만원까지 후불 결제를 허용할 방침이다.
후불 결제를 허용한다는 건 테크핀 업체에 사실상 여신사업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신용카드 업계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카드 업계는 테크 기업에 대한 과도한 규제 완화로 부실 대출 증가 등 금융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으며 독과점에 대한 우려도 커진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댓글 많은 뉴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