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지적통계연보…50년 간 국토면적 여의도 821배 증가
지난 50년간 국토 면적이 2천382㎢ 증가해 여의도 면적의 821배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면적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는 경북으로 국토의 19.0%인 1만9천33㎢이고, 기초단체로는 강원 홍천군 1천820㎢(1.8%)로 1위였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2020년 지적(地籍)통계연보(2019. 12. 31. 기준)' 를 발간한다고 3일 밝혔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면적 등을 기초로 행정구역(시·도 및 시·군·구)별, 지목(토지의 종류)별, 소유 구분별 등 우리나라의 총 면적 및 필지 수를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1970년 최초 작성됐으며 올해로 공표 50주년을 맞았다.
'2020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지적공부에 등록된 면적은 10만401㎢(약 3천899만 필지)로 최초 작성된 1970년 지적통계와 비교할 때 전 2천382㎢ 증가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821배에 달하는 규모다.
면적이 증가한 주요 사유는 간척사업, 농업개발사업, 공유수면매립 등 각종 개발사업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시 면적은 883.5㎢로 달성군(426.7㎢)이 가장 넓었고, 중구(7.1㎢)가 가장 좁았다. 지목 별로는 ▷임야 472.3㎢ ▷도로하천 103㎢ ▷대(垈) 90.0㎢ ▷답(沓) 72.7㎢ ▷전(田) 39.3㎢ 등이었다.
경북에서는 안동시가 1천552.1㎢로 면적이 넓은 자치단체 1위였다. 울릉군을 제외하고 고령군이 384.1㎢로 가장 좁았다. 경북 전체의 지목을 보면 임야가 1만3천570㎢으로 전체의 71.3%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답 1천730.7 ㎢ ▷전 1천242.9 ㎢ ▷기타 1천166.3 ㎢ 등의 순이었다.
전국적으로 지난 50년간 주요 지목별 면적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산림 및 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여의도 면적의 1천857배인 5천386㎢ 감소했다. 반면 도로 및 철도용지는 1천878㎢ 증가했는데 이는 1970년대 이후 산업화 및 도시화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비율로 환산하면 ▷임야 11.7% ▷전 19.2%, ▷답 11.7% 감소 ▷대 203% ▷도로는 215% ▷철도는 155% 증가했다.
지난해 지적통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목은 임야로 63%이고, 다음으로 답 11.1%, 전 7%이다. 즉, 산림 및 농경지가 우리나라 면적의 약 81%를 차지하고 있다.
손종영 국토부 공간정보제도과장은 "지적통계가 각종 토지 관련 정책수립, 조세부과 및 학술연구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기관에 배부할 계획"이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지적통계 작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