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할머니 두 단어 구분해 사용…"1990년대 초반엔 혼용"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92)가 25일 기자회견에서 정의기억연대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정대협)을 가리켜 "정신대 문제만 하지 무슨 권리로 위안부 피해자를 이용했느냐"고 비판했다.
이 할머니는 이날 "정신대대책협의회면 공장 갔다 온 할머니들(정신대)로 해야 하는데, 빵으로 비유하면, 공장 갔다 온 할머니를 밀가루 반죽으로 빚어놓고, 속에 팥은 '위안부'로 넣었다"고 지적했다. 일본군 성노예로 모진 고초를 겪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정대협에 이용당했다는 취지다.
이 할머니 지적처럼 일제가 조선인 노동력을 착취한 '정신대'와 조선인 여성을 성 착취한 '위안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여성가족부가 관리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역사관 홈페이지를 보면, 정신대(挺身隊)는 여자근로정신대의 준말로 '일본 국가를 위해 솔선해서 몸을 바치는 부대'라는 의미다. 노동력을 동원하고자 강제 징용한 것이다.
이와 달리 '위안부'(慰安婦)는 일본이 만주사변(1931) 이후 태평양전쟁에서 패전할 때까지 '위안소'에 강제 동원해 끌고 다니며 일본군의 성노예가 되도록 강요한 여성을 이른다.
'위안부'는 일제가 만든 단어인 데다 '군인을 위로한다'는 가해자 중심 의미를 담고 있어 일제의 폭력성·강제성을 감추는 부정적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선 이 용어에 작은따옴표를 붙여 하나의 고유명사로 쓰고 있다.
1990년대까진 정신대 용어가 '위안부'를 아울러 쓰이기도 했다. 과거 정신대에 동원된 여성이 '위안부'로 끌려간 피해 사례가 있었고, 정신대라는 말이 더 널리 알려졌다는 등의 이유다. 1990년대 초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했을 때도 '위안부' 대신 정신대 용어가 널리 사용됐다.
국내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결하고자 결성한 정대협도 이로 인해 정신대라는 용어를 내세웠다.
정대협은 이후 2018년 단체 후신인 정의연(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을 결성하면서 단체명에서 '정신대'라는 용어를 지우고 '성노예'라는 단어를 넣어 사용해 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