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의 조사, "4월부터 팬데믹·유가급락·공급망 훼손 악영향 미칠 듯
대구지역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매출감소 등 어려움이 2분기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14일 대구상공회의소가 달성지역 산업단지 내 제조업체 98곳을 조사해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지역 제조업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48.9%가 1분기 매출 실적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기업 5곳 중 4곳(78.3%)는 2분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감소가 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구상의는 2∼3월에는 글로벌 확산세 초기 단계인데다 기존 계약제품 생산으로 매출 감소폭이 제한적이었지만, 4월부터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유가급락, 공급망 훼손 등으로 영업실적이 크게 악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업종별로 일반기계(87.4%), 섬유(63.6%), 자동차부품(55.6%)에 타격이 컸다.
일반기계는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 둔화 영향, 섬유는 아세안 시장과 국내 수요 급감, 자동차부품은 북미와 유럽 자동차업계 연쇄 셧다운 및 현지 수요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영향 등으로 수출기업(54.3%)이 내수기업(43.5%)보다 사정이 더 나빴고, 전망 역시 수출기업(84.8%)의 매출감소 우려가 내수기업(71.7%)보다 컸다.
코로나19 폭탄을 맞은 기업들은 근로시간을 줄여 생산물량을 조정하거나, 정부의 휴업·휴직급여 지원제도를 최대한 활용해 위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실적부진 기업 경우 대출의 어려움, 기존 정책자금 이용시 중복문제, 대출 진행절차 지연 등 금융지원을 제대로 받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경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중소기업 피해가 지속되면 결국 인력을 줄여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되는 만큼 근로자 고용 안정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