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분산전원 발전 2025년까지 33%로 확대

입력 2020-05-12 17:16:41 수정 2020-05-12 20:47:58

산자부, 지역에너지계획 확정…경북 재생에너지 비중 28%로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산업부 제공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산업부 제공

경상북도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28%로 늘리고, 대구시는 분산전원 발전 비중을 33%로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제20차 에너지위원회에서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결과를 이같이 확정했다.

지역에너지계획은 에너지법에 따라 에너지기본계획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 광역지자체가 5년마다 5년 이상 기간으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지역별 에너지 수급환경을 고려한 2025년까지의 최종에너지소비 감축 목표와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신산업 등 부문별 추진계획을 포함했다.

17개 광역지자체는 2025년 최종에너지소비 목표치를 기준수요(BAU)보다 8.7% 감축한 2억450만TOE(석유환산톤)로 잡았다.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상 국가 목표는 2030년 기준수요 대비 14.4%를 감축하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25년까지 15.1%로 늘린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른 2030년 기준 국가 목표는 20%다.

지역별 목표치를 보면 경북은 28.7%, 대구는 9.1% 등으로 계획했다.

분산전원 발전 비중은 22.0%로 늘린다.

분산전원은 대형 발전소 중심의 에너지 생산체계를 지양하고, 전력 소비 지역 인근에서 태양광, 풍력 등 형태로 소규모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대로 진행되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 18.4%를 조기에 달성할 전망이다.

분산전원 시도별 계획 비중은 대구는 33.3%, 경북은 21.1%로 세웠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는 지역별 에너지 수급환경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관련 산업 육성방안도 제시했다.

중화학 공업이 발달한 영남권은 석유화학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활용한 수소 생산·공급체계를 구축하고 기계·조선 산업 기반을 활용해 풍력·가스터빈 생태계를 육성하겠다고 했다.

대구는 전기차 카셰어링 시범지구, 융복합 청정에너지 산단 구축과 경북은 동해안 육·해상풍력 클러스터, 도심형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등을 계획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