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개 지자체 다수 긴급사태 해제 시야에"…14일까지 기준 마련
일본 정부가 이달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뚜렷이 감소하는 가운데 긴급사태 선언 해제 등 출구전략 모색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10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재생담당상,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후생노동상 등과 총리관저에서 만나 코로나19 대책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선 코로나19 규제를 완화한 독일 등 해외사례 분석에 시간이 할애됐다고 참석자는 전했다.
일본 정부가 전국에 선언한 긴급사태의 해제 기준 마련을 추진하고 있어 이날 회의는 그 일환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은 분석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4일 전국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에 선언한 긴급사태 시한을 이달 6일에서 31일로 연장하면서 14일에라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지역별 조기 해제를 모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14일까지는 긴급사태 해제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니시무라 경제재생담당상은 이날 NHK 일요토론에 출연해 코로나19 감염자가 많은 13개 '특정 경계 도도부현' 외 34개 광역자치단체의 다수가 "긴급사태 (조기) 해제 시야에 들어오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니시무라 담당상은 긴급사태 해제 기준으로는 ▲ 주 단위 신규 확진자 현황 ▲ 지역별 인구 대비 신규 확진자 ▲ 중증자에 대한 의료 제공 체제 등을 꼽았다.
일본의 하루 코로나19 확진자가 이달 들어 크게 줄어들고 있는 것은 정부가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지난달 7일 처음 긴급사태를 선언한 이후 같은 달 30일까지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는 425명이었지만, 이달 1~8일은 170명으로 40% 수준으로 줄었다.
특히, 이달 6~9일 나흘 동안 신규 확진자는 100명 안팎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일본 정부와 지자체가 출구전략을 모색하는 이유는 휴업으로 인한 손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고, 외출 자제 등으로 국민이 겪는 부담도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