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진화 동원 차량 발 묶어…협조요청 문자에도 효과없어
세계유산 병산서원 경관 훼손…시 "피해규모 추산 대책 마련"
큰 피해를 남긴 안동 산불이 26일 가까스로 진압된 가운데 일부 구경꾼들 탓에 주민 대피와 진화가 늦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 투입됐던 한 공무원은 "차를 타고 화재 현장으로 가던 중 앞서 달리던 차량들이 갑자기 비상등을 켜고 정차를 해 혼잡한 도로에서 사고가 난 줄 알고 내려보니 사람들이 산불 사진을 찍고 있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일부 구경꾼은 도로, 교량 위에 차량을 세운 채 산불진화 헬기가 물을 긷고 뿌리는 장면을 휴대전화로 찍거나 SNS로 중계했다. 교통이 혼잡한 차도를 무단횡단하는 바람에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정작 산불 진화에 동원돼야 하는 차량이 제때 현장에 도착하지 못하거나 구경꾼 통제에 인력이 낭비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또 대피령이 떨어진 뒤에는 남후면 고하리, 단호리 주민들의 피난행렬과 겹쳐 산불 현장 일대 통행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안동시가 불 구경 자제를 당부하는 안내방송·문자까지 내보냈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 안동시는 당시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남후면 일대 산불 현장에 불특정 다수 차량으로 인해 진화작업 및 주민 대피에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으니 즉시 차량 이동 바랍니다"라며 협조를 요청했다.
부모님을 모시러 단호리를 찾았던 A(45) 씨는 "고향에 큰 불이 나 정신없이 왔는데 차량이 들어가지도 나가지도 못하는 일이 벌어져 피가 마르는 것처럼 답답했다"며 "산불 현장에는 옷과 신발이 녹아내릴 정도로 쫓아다닌 봉사자들도 있었는데 남의 피해를 구경만한 사람들은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산불이 진압된 뒤 둘러본 풍천면과 남후면 일대는 까만 재로 뒤덮인 앙상한 산들만 남아 안타까움을 더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병산서원은 다행히 직접 피해는 면했지만 경관이 훼손됐다. 세계유산은 건조물과 주변 경관을 같이 지정하는데 산불이 발생한 병산서원 강 건너편 일부 역시 유산구역이다. 안동시는 정확한 피해 규모를 추산한 뒤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잿더미로 변한 산소를 찾은 후손들은 지푸라기를 모아와 산소를 덮고 술을 따르며 사죄하기도 했다. 자식처럼 키우던 돼지들이 대부분 폐사한 가운데 살아남은 몇 마리의 돼지라도 살리려고 동분서주하는 농장주도 있었다.
산불 현장 인근 식당에서는 교대근무 뒤 뒤늦은 식사를 하러 온 소방대원들에게 업주가 서비스를 주는가 하면 다른 손님이 미리 계산하고 가는 따뜻한 나눔도 이어졌다. 안동시 용상동에 사는 한 시민이 안동시청과 소방서 공무원들에게 간식을 전달하자는 글을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리자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겠다는 댓글을 달았다.
산림청은 27일 오후 현재 잔불이 남아 뒷불로 번지는 사태를 방지하고자 감시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