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에서 집권 여당이 압도적 승리를 거둔 것과 달리 대구경북에서는 사실상 미래통합당 전석 석권으로 마무리됐다. 오는 5월 30일 21대 국회가 열리면 대구경북 25명 당선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험난한 여건 속에서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
대구경북 당선인들은 당선 기쁨에 젖기에 앞서 반성과 성찰부터 해야 한다. 이번 총선에서 대구경북 유권자들은 후보자 인물됨과 공약을 따져보기보다 정권 심판론의 연장선상에서 표를 던졌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당선인들은 위기에 빠진 미래통합당이 정권 견제 세력으로서 건전한 보수 야당으로 조직을 추스르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
대구경북은 지역구 기준으로 미래통합당 당선자 84명 가운데 30% 가까운 24석을 배출했다. 이제는 지분에 걸맞은 당내 입지도 확보해야 한다. 20대 국회에서처럼 계파 보스들의 눈치만 보고 휩쓸려 다니며 자기 정치 못하는 무기력한 모습을 지역 유권자들이 더 보고 싶어할 리 없다. 미래통합당 복귀를 선언한 홍준표 당선인을 포함하면 주호영 의원까지 5선 중진이 2명이나 되는 TK가 당내에서 주변부로 밀릴 하등의 이유는 없다.
국회의원은 나랏일도 하지만 지역도 챙겨야 하는 자리다. 그런 점에서 당선인들은 이번 선거 결과 빚어질지도 모를 'TK 고립'을 엄중히 여겨야 한다. 20대 국회에서는 김부겸·홍의락 등 여당 소속 국회의원 2명이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했지만 21대 국회에서는 이런 채널이 원내에 없다. 예산 확보, 사업, 인사 등에서 어떤 소외를 받을지 예단하기 어려운데 이런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당선인들은 신발이 닳도록 중앙 부처를 드나들어야 한다.
대거 물갈이가 되면서 초선 12명을 포함해 재선 이하가 21명이나 된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선수(選數)가 깡패'라는 여의도 속설이 있듯이 선수가 낮은 의원들일수록 더 열심히 의정 활동을 하는 수밖에 없다. 막장 공천 논란 속에 이번 선거에서 '서울TK'들이 금배지를 달았는데, 소지역 권력부터 탐하고 '의원님 대접'에 취해서는 안 될 일이다. 지역 상황을 더 많이 공부하고 지역민들의 이야기를 더 많이 들어야 지역 현안도 챙길 수 있다. 그것이 표를 몰아준 지역 유권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