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출신 5명 지역 우군 활동 기대…정당 득표율 3% 이상 5개분 배분
4·15 총선 개표 결과 비례대표 의석은 미래통합당의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19석,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이 17석을 각각 차지하게 됐다.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위원회의를 열어 이 같은 비례대표 투표 득표율에 따른 정당별 연동형·병립형 의석 배분을 확정해 발표했다. 확정안에 따르면 모두 47석의 비례대표 의석을 나눠 가지게 된 정당은 3% 이상의 득표율을 가진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등 5개다.
가장 높은 33.84%의 득표율을 기록한 미래한국당이 19석(연동형 12석+병립형 7석)을 차지했고, 33.35%의 득표율을 가진 더불어시민당은 17석(연동형 11석+병립형 6석)을 가져갔다.
정의당(9.67%)은 5석(연동형 3석+병립형 2석), 국민의당(6.79%)과 열린민주당(5.42%)은 각각 3석(연동형 2석+병립형 1석)을 받았다.
3% 미만 득표율을 기록한 나머지 정당들은 비례대표 입성에 성공하지 못했다.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따라 47석 중 30석은 정당 득표율과 지역구 의석수를 따져 각 정당에 배분됐다. 나머지 비례 17석은 기존 방식처럼 정당 득표율에 따라 단순 배분하는 병립형 방식을 따랐다.
이 같은 비례대표 의석 배분 결과 각 당의 비례명부 순서대로 당선인도 결정됐다.
각 당의 비례대표 당선인 가운데 TK 출신 인사로는 한무경·조명희·서정숙·허은아(이상 미래한국당), 최연숙(국민의당) 당선인이 포함됐다. 이들은 21대 국회의 회기 동안 지역을 대변하면서 든든한 우군으로 활동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